팩트풀니스 - 우리가 세상을 오해하는 10가지 이유와 세상이 생각보다 괜찮은 이유
한스 로슬링.올라 로슬링.안나 로슬링 뢴룬드 지음, 이창신 옮김 / 김영사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팩트풀니스(Factfulness)_ 한스 로슬링

 

본문에 들어가기 앞서 다음 문제를 풀어볼 것을 추천한다.

 

오늘날 세계 모든 저소득 국가에서 초등학교를 나온 여성은 얼마나 될까?

a. 20% b. 40% c. 60%

2. 지난 20년간 세계 인구에서 극빈층 비율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a. 거의 2배로 늘었다. b. 거의 같다. c. 거의 절반으로 줄었다.

3. 전 세계 인구 중 어떤 식으로든 전기를 공급받는 비율은 몇 퍼센트일까?

a. 20% b. 50% c. 80%

4. 오늘날 전 세계 아동 중 어떤 질병이든 예방접종을 받은 비율은 몇 퍼센트일까?

a. 20% b. 50% c. 80%

5. 전 세계 30대 남성은 평균 10년간 학교를 다닌다. 같은 나이의 여성은 평균 몇 년간 학교를 다닐까?

a. 9b. 6c. 3

 

답은 다음과 같다. 1. c 2. c 3. c 4. c 5. a

 

많이 틀렸어도 자책할 필요는 없다. 위 문제를 포함해서 저자가 제시한 13문제의 평균 정답률은 16%에 불과하다. 침팬지가 아무렇게나 찍어도 나올 33%에 절반도 미치지 못한다. 무작위로 추출한 표본도 아니다. 교수, 언론인, 의사 등 고학력자들도 마찬가지로 세상을 오해하고 있었으며 심지어 일반인들보다 더 낮은 정답률을 보이기도 했다.

 

물론 극빈층의 기준을 어떻게 잡을 것이냐에 대해서 충분히 의문을 가질 수 있다. 저자는 1일 소득 1달러를 기준으로 극빈층(1단계, 10억 명)을 구분한다. 추가로 2달러 이상은 2단계, 8달러 이상은 3단계 그리고 32달러 이상은 4단계로 나누는데 2단계 이상부터는 소비활동이 가능하며 중간소득인 2, 3단계 국가에 50억 명 이상의 인구가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세상을 오해하고 과소평가하는 것일까. 저자는 인간의 10가지 비합리적인 본능을 제시하며 각각의 본능들이 어떤 방식으로 우리의 눈을 가리는지를 보여준다. 간극 본능, 직선 본능, 일반화 본능 등 이름만 봐서는 그 의미가 딱히 와닿지 않지만 큰 틀에서 접근해보자면 경험이나 감과 같은 느낌을 통해 사실을 단정해버리는 오류를 지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저자의 놀라운 통찰과 방대한 데이터는 문제를 지적하는 것에서 멈추지 않는다. 책의 제목인 사실충실성(Factfulness)’은 팩트에 근거해 세계를 바라보고 이해하는 태도와 관점을 의미하며 위에서 제시한 10가지 오류에서 벗어날 수 있게 책의 각 장에 친절하게 소개되어 있다. 뜬구름 잡는 이야기가 아닌 저자가 수년에 걸쳐 집대성한 통계와 데이터에 기반하고 있기에 믿고 따라가다 보면 책을 읽기 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머리를 굴리고 있는 자신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책에 제시된 모든 수치에 대해 근거자료가 있다는 것이 놀라웠다(참조만 51페이지).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세상은 나아지고 있다. 물론 이러한 긍정적 통계가 주는 의미가 더 나은 세상을 위한 노력을 그만둬도 괜찮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인류가 진행해온 그동안의 노력이 분명 성과가 있었고 앞으로도 그럴 수 있다는 긍정의 시각을 가지자는 뜻일 것이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편향된 지식을 이 책을 통해 업데이트해보자. 가짜뉴스가 만연하고 온갖 확증편향이 눈을 가리는 지금, 감이 아닌 사실로 무장할 수 있는 기회가 여기에 있지 않을까.

 

단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 이 책이 저자 한스 로슬링 박사의 유작이라는 것. 그의 저서를 더는 만나지 못한다는 게 안타까울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