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 사피엔스 씨의 위험한 고민 - 미래 과학이 답하는 8가지 윤리적 질문
권복규 외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미래 과학이 답하는 8가지 윤리적 질문

 

제목만 봤을 땐 이게 무슨 책인가~ 할 수 있지만, 부제가 친절하게 알려준다. ‘미래 과학이 답하는 8가지 윤리적 질문이라는 한 문장이 이 책을 잘 요약하고 있다. 말 그대로 과학자, 또는 이공계 종사자를 위한 인문학적 담론을 담고 있는 책이다.

 

저자는 8명이고 각각 한 파트 씩, 8가지의 주제를 다룬다. 1: 21세기 과학 최악의 시나리오(원종우) 2: 과학과 휴머니즘의 해후(이명현) 3: 안드로이드 하녀를 발로 차는 건 잔인한가?(정지훈) 4: 빅브라더와 리틀시스터의 감시탑(이창무) 5: 메르스의 승리와 한국 의료의 위기(권복규) 6: 유전공학의 저울추-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의 사이에서(홍성욱) 7: 원자력에 대한 집착과 에너지 독립(이필렬) 8: 여섯 번째 대멸종에서 살아남기(이정모)로 구성되어 있다.

 

AI, 유전공학, 원자력 등 인류의 삶을 뒤흔들 수 있는 현대 과학의 핵심 이슈들을 다룬다는 점에서 시의성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겠다. 2015년에 초판이 나왔지만, 책에 나온 사례들은 비교적 최신의 예시들이 많다. 인문학을 배제한 맹목적인 과학, 기술 추종이 불러올 위험성을 경고하고 다가올 미래에 과학과 과학자의 책임을 강조한 점도 마음에 들었다.

 

300페이지가 약간 넘는 짧은 책에 8가지 주제가 들어있다. 분량상 논의가 깊게 들어가지 못하고 피상적인 개념만을 다루기 때문에 심도 있는 내용을 원하는 독자에게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지도 모르겠다. 저자가 워낙 많기도 하고 각자의 강연(?)을 요약해서 편집한 책이라 그런지 중복되는 내용이 종종 눈에 띈 것 또한 약간 아쉬웠다.

 

324p 호모 사피엔스가 등장하기 전까지 지구에 살던 어떤 생명체도 이름을 가져본 적이 없습니다. 그 어떤 꽃도 예뻤던 적이 없습니다. 호모 사피엔스가 처음으로 꽃을 보고 예쁘다고 불러주었지요. 우주가 장대하고 아름다운 것도 우리 인류가 그렇게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우리 인류는 중요한 존재입니다. 반드시 살아남아야 합니다.

 

아쉬운 점이 없지 않았지만, 저자들이 던지는 질문만으로도 이 책의 가치는 충분하다고 본다. 다가올 미래를 기다리고 있는 입장에서 과학이 우리 인류에게 미소지을지 아니면 그 반대일지 고민해 봐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