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글세대가 본 논어 1
배병삼 지음 / 문학동네 / 2002년 10월
평점 :
저자는 책의 전반부에 논어를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지를 고민해보았거나, 인간다운 삶이 뭔지를 고민하는 성인들 그리고 조숙한 학생들을 위한 책이다’라고 하였다. 딱히 해당 사항이 없어 초반부터 뜨끔하면서 책을 읽기 시작했다. 논어를 언젠가는 제대로 읽어봐야지 하는 생각은 계속 가지고 있긴 했다. 시간이 없었다고 하면 핑계겠지만 마침 학교 행사에 이 책이 포함되어 있었고 덕분에 반강제(?)로 기회가 생겼다.
책을 처음 보고 두 번 놀랐다. 우선 생각보다 책이 좀 두꺼웠다. 제목만 봤을 땐 전문이 수록된 게 아니라 해석이 주가 된 편집본 일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한글세대가 본’이라는 문구가 주는 선입견이었다. 1, 2권 모두 600페이지 정도의 분량이고 논어의 모든 대화 내용이 담겨 있다. 이번에 읽은 1권은 1편 ‘학이’부터 10편 ‘향당’까지를, 2권은 나머지 10편을 다룬다. 다음으로 놀란 점은 방대한 텍스트의 압박에 비해 깔끔하고 친절한 해석이 담겨 있다는 것이었다. 다수설과 저자의 의견이 조화롭게 배치된 건 물론, 이해하는 데 어려운 부분도 딱히 없었다.
구성은 깔끔하다. 논어의 한글 직역과 한자 원문이 앞에 나오고 참조할 내용과 저자의 해석이 뒤를 잇는다. 어려운 한자어나 고유명사에 대한 설명은 물론이고 발언의 표면 뒤에 있는 숨은 의미에 관해서도 심도 있는 해석과 분석이 곁들어있다. 주자, 다산 정약용, 지봉유설의 이수광 등 동양 철학자들의 해석, 그리고 조셉 캠벨, 벤자민 슈월츠 등 서양 철학자들의 논의도 소개되어 있어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논어를 읽으며 공자라는 위대한 사상가의 가치관과 인간적인 면모를 엿볼 수 있었다. 공자는 분명 형식주의자였지만, 알맹이 없는 형식의 경직화는 항상 경계하고 비판했다. 형식은 언제나 ‘되돌아보기’, ‘반성적 성찰’이 더해졌을 때 그 가치가 있다는 공자의 걱정이 기억에 남는다. 이는 유교뿐 아니라 다른 종교나 이념에도 해당할 것이다. 울림을 준 문구와 해석이 더 많이 있으나 모두 소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아 보인다.
이 책은 1권일 뿐이고 게다가 겨우 한 번 읽었다고 해서 논어의 내용을 모두 이해하고 체화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그래도 이렇게 시작을 했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 싶다. 빠른시일 내에 2권도 읽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