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임종학 강의 - 아름다운 삶을 위한 죽음 공부
최준식 지음 / 김영사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겪지만, 또 누구에게나 생소한 것이 죽음이 아닐까. 고민하고 준비하기는커녕 부정하고 회피하려고만 하는 게 죽음일 것이다. 그리고 죽음이 다가왔을 때 당사자는 물론 그를 지켜보는 사람들도 큰 상실감에 빠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름답고 품위 있게 죽음을 맞이하는 방법은 과연 있을까. 이 책은 이러한 고민의 산물이다.

 

저자는 한국죽음학회 회장이라는 다소 특이한 이력의 소유자이다. 또한, 이화여대에서 한국학을 가르치는 교수이기도 하여 한국인의 죽음에 관한 국내 최고의 전문가라 해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이 책 외에도 죽음을 다룬 많은 저서와 강연을 찾아볼 수 있었다.

 

제목에서 드러나듯 임종학 강의는 강의의 형태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저자는 죽음이라는 생소한 주제를 알기 쉬운 언어로 풀어나간다. 말기 질환부터 임종까지 단계별로 나타나는 현상과 필요한 정보가 친절하게 제시된다. 잠시 목차를 살펴보자. 죽음을 맞이하는 당사자는 물론 가족이나 의료진이 가져야 할 태도나 대처방법도 소개되어 있다. 아름다운 죽음은 당사자 혼자의 의지만으로 맞이할 수 없으며 주위의 도움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가능하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한국경제에 실린 웰다잉에 관한 저자의 인터뷰에 따르면 좋은 죽음을 위해서는 유언장이나 사전연명의료서와 같은 서류의 준비와 함께 인생의 의미, 인간관계 등을 반추하는 질문을 가져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이러한 내용은 책에도 그대로 담겨 있다.

 

내 인생은 의미가 있었나?”

나는 내 인생을 성공적으로 살았나?”

내가 죽은 다음에 다른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기억할까?”

나는 좋은 자식, 좋은 남편, 좋은 아버지였나?”

평소에는 바쁘다는 핑계로 이와 같은 의문을 가지기 힘들지만, 죽음이 다가와야 비로소 진지하게 이러한 질문에 대면할 수 있기에 저자는 죽음이 마지막 성장의 기회라고 한다. 이 질문들을 다시 읽어보며 나 또한 너무 무심하게 살아온 건 아닌지 찬찬히 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소방서 생활을 하며 죽음은 남부럽지 않게 겪어봤으나 정작 진지하게 생각했던 적은 없었지 싶다. 책의 후반부로 가면서 종교적인 이야기가 자주 등장하기는 하지만 죽음을 다루기에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 생각한다. 이런 점은 차치하고 삶의 마무리에 대해 생각해볼 기회와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이 책은 그 가치가 상당하다고 생각한다. ‘웰빙뿐 아니라 웰다잉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