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의 시간, 쥐의 시간 - 크기의 생물학
모토카와 타츠오 지음, 이상대 옮김 / 김영사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귀여운 표지 그림, 가벼워 보이는 제목, 얼핏 봐서는 동화 같은 편안한 느낌을 풍기고 있지만 과학책이다. 그것도 숫자와 공식이 꽤나 많이 들어있는 생물학책이다. 그중에서도 크기와 관련된 다양한 동물의 생존전략이 이 책의 주된 관심사이다.

 

저자인 모토카와 다쓰오 교수는 독특한 이력의 소유자이다. 도쿄대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생물학자로 활동함과 동시에 생물학 지식을 노래 가사에 담아 음반을 내는 등 노래하는 생물학자로 보다 많이 알려져 있다. 또한, 다수의 교과서와 참고서 등을 집필한 것으로 보아 학문은 물론 교육에도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는 학자로 보인다. 이 책의 맨 뒤편 부록에도 저자가 작사, 작곡한 생물학 노래의 악보와 가사가 수록돼있다.

 

모든 동물은 수명이 다 다르다. 수십 년을 살아가는 코끼리나 고래와 같은 동물도 있는 반면에 수년, 짧게는 일 년도 채 살지 못하는 경우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일까? 저자는 생물의 크기에서 그 이유를 찾는다. 동물은 일생동안 3억 번의 호흡과 20억 번의 심장박동을 마치면 그 수명을 다한다고 한다. 크기가 큰 동물은 그 주기가 길어지기 때문에 더 긴 삶을 살아간다는 것이다. 동물에게 있어 절대적인 시간은 모두 다르지만, 심장박동으로 대표되는 생리적 시간은 공평하다. 공식화하면 포유류의 경우 시간은 체중의 1/4제곱에 비례한다는 결과가 나온다.

 

이를 바탕으로 계산했을 때, 인간의 적정 수명은 대략 50년 정도라고 한다. 의료와 과학의 발달로 인해 체중이 훨씬 많이 나가는 코끼리와 비슷한 수명을 누리고 있는 지금, 삶의 리듬은 여전히 50년에 맞춰져 있는듯하다. 길어진 수명에 맞게, 생리적 시간에 맞게 리듬을 조금은 늦춰도 괜찮지 않을까?

 

시간에 관한 내용뿐만 아니라 나는 것과 달리는 것의 차이점, 왜 바퀴나 프로펠러는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았는가, 곤충과 극피동물의 외골격에서의 차이점 등 흥미로운 내용이 가득 담겨 있다. 무심코 지나갈 수 있는 동물들의 생존전략과 그에 따른 행동을 이해할 수 있다. 국내에는 이번에 소개되었지만, 일본에서 1992년에 출간된 20년이 넘은 꽤나 오래된 과학책이다. 크게 변했을 만한 내용은 보이지 않았으나 어느 정도 생각은 하면서 읽으면 좋을듯하다.

 

공식과 숫자들이 생각보다 많이 등장해 멍해지는 경우가 종종 있었지만, 저자의 친절한 설명 덕분에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었다. 책에서 다룬 다른 주제도 재밌게 읽었지만, ‘시간은 역시 어떤 개념과 합쳐져도 흥미로운 주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