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 데우스 - 미래의 역사 인류 3부작 시리즈
유발 하라리 지음, 김명주 옮김 / 김영사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로운 종교로 부상하고 있는 데이터와 알고리즘, 호모 사피엔스는 과연 이들을 다루고 호모 데우스로 진화할 수 있을까? 아니면 적응하지 못하고 도태되어 지구상의 다른 동물들이 그랬던 것처럼 존엄을 잃을 것인가. 저자인 유발 하라리는 전작 사피엔스에서 호모 사피엔스가 어떻게 지구라는 행성의 정점에 설 수 있었는지 밝혔다. ‘호모 데우스는 그 이후, 정복을 마친 호모 사피엔스의 미래를 다룬다.

 

호모 데우스(Homo Deus), 여기서 Deus는 신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 자신의 생물학적 기질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는 신성(神性)을 얻은 인간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인류의 의제는 빈곤, 질병, 그리고 전쟁과의 싸움이었다. 그리고 아직 완전하지는 않지만, 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어느 정도 해결했다. 그렇다면 인류의 다음 의제는 무엇일까? 저자는 불멸, 행복, 그리고 이를 통한 신성의 획득이 인류의 지향점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실제로 현대 과학 연구의 중추가 이를 향하고 있는 것은 부인하기 어려워 보인다.

 

근래 들어 4차 산업혁명, 미래 전망 등에 관한 책들을 많이 읽었지만, 그저 기술을 나열하거나 피상적인 미래 예측에 그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호모 데우스는 전작 사피엔스와 마찬가지로 인류학, 철학, 생명공학, 역사학 등 여러 학문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인간과 미래에 대한 보다 깊은 통찰을 담고 있다. 단순하게 앞으로 사라질 직업, 직종을 걱정하는 것을 떠나, 기술의 발전이 불러올 전 인류적 디스토피아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실제로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상상하기 힘들었던 기술이 하루가 멀다하고 계속 공개되고 있다. SF 영화에나 등장하던 얼굴인식은 물론 전기자극을 통해 생각만으로 의사를 표현할 수 있고 구글과 페이스북에 축적된 빅데이터는 나 자신보다도 나를 더 잘 아는 듯하다. 이러한 기술들이 더욱 진보한다면 개인의 자유의지는 온전히 개인의 것으로 남아있을 수 있을까? 개인을 뜻하는 영단어 individual은 분리될 수 없다는 의미가 있지만, 사람의 감정을 약물이나 전극을 통해 분리하는 것은 더는 소설 속의 일이 아니다. 또한, 본인의 정치적 판단이나 성향을 구글의 알고리즘이 훨씬 정확하게 알고 있다면 선거의 의미가 있을까? 그렇다면 인간의 존재 이유는 무엇일까?

 

600페이지가 넘는 두꺼운 이 책이 우리에게 답을 건네주지는 않는다. 하지만 고민의 기회와 생각을 정리할 약간의 팁은 담겨있다. 가뜩이나 생각이 많은 요즘 짐이 하나 더 늘어난 기분이 든다. 하지만 꼭 필요한 고민이기에 계속 생각하고 더 배워보려고 한다. 알고리즘의 부품이 된다는 것이 썩 유쾌하지는 않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