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에 민감하다" 는 "청각이 뛰어나다" 와 같은 말이 아니다.
"소음에 민감하다" 는 "소리로서 스트레스를 받기 쉽다" 라는 말이다.
이 스트레스는 고막에 충격을 주어 손상시킨다거나, 장기간 지속적인 자극으로 고막이 두터워져 난청이 된다거나
하는 게 아니라 정신적인 것이다.

위층 공룡이 춤을 춘다고 해서 소음계를 들이 대 보았자 바늘은 까딱도 않을 것이다
머리위 에어버스의 90db 굉음보다 조용한 사무실에 켜 놓은 더 조용한 MP3에서 훨씬 더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며
지나가는 온갖 차량의 교통소음과 엔진소리는 못 느끼지만 그에 비한다면 별 것아닌 버스 라디오 소리에 열 받는다.

내가 민감해지는 듣기 싫은 소리는 무엇인가?
어쩔수 없는 게 아닌 부주의, 몰상식, 예절이 없는, 공중도덕이 무시된, 타인에 대한 배려가 없는..등등의 행동결과로서 만들어 진 소리이다.
이런 경우 아무리 아름다운 음악이라도 졸지에 소음으로 바뀐다.

90db급 지하철, 항공기, 시내교통, 공사장 심지어 오케스트라까지, 물론 듣고 싶지는 않지만, 그다지 스트레스는 없다.
그 소음 제공자들이 소음을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많은 돈과 노력을 들이며 또한 생계임을 알기 때문이다.

그러나 뒷꿈치를 바닥에 꽝꽝 내리치면서 걷는다거나, 새벽3시에 장시간 샤워를 한다거나, 의자나 테이블을 질질 끌고 다닌다거나, 귀가 나쁘다고 티비 볼륨을 왕창 올려 사방에 중계한다거나, 문이 깨져라 닫는다거나, 남들 일하는데 혼자 음악을 켜 놓는다거나, 핸폰에 대고 온갖 사생활을 고함친다거나 하는 행위는 전혀 생계와 관계  없지 않는가

결국 소음이라는건 공중도덕의 문제로 종착되고 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