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여자들이 예쁘다고 생각했는데 - 라틴여성문학소설선집
이사벨 아옌데 외 지음, 송병선 옮김 / 생각의나무 / 2002년 11월
평점 :
품절


거창하지 않았다. 불편한 낯설음도 있었다 친숙할 땐 왠지 낡아 보였다. 책 읽는 내내 돌부리에 걸려 넘어졌다. (그럴때 마다 생각했다. 그녀들과 한국의 여성작가들의 글이 어떻게 다르지?) 작가들이 힘든 나라 사정안에서도 엘리트 코스를 밟은 듯 보여 곱게만 보이지 않았다.그런데 왜 이사벨 아옌데가 가장 먼저 실렸을까? 아주 조금 고개를 갸웃거렸다. 그녀의 글이 마치 당의(로맨스)를 입힌 칠레(역사)가 아니라 로맨스에 역사를 고명으로 얹은 것으로 느껴져 더욱 의문을 갖게 했다.들어가는 문은 뻑뻑하고 삐걱거리면 안된다는 상술?? 그러고보니 작가의 얼굴도 꽤나 예쁘다 (열등감 활활)

‘입 다문 마을’은 말하는 자의 고통을 알게 한다.마치 광주항쟁을 보는 듯 했다.그러나 동화적 리얼리즘(?)이라는 혐의를 깔고 있다. 공포가 조여오지 않고 느슨하다.독한 년, 내가 즐겨 쓰는 애정 어린 호칭~ ‘독이 있는 이야기’는 발칙한 소설이다. 작중 인물이 작가를 꼬나보고 딴지 걸고 발악한다. 이 발칙한 로사를 작가와 순진한 로사우라가 한패가 되서 우아하게 힐로 짓밟는다. 아 우아하지 못해서 슬픈 로사여!그대는 독°한°년고백하건데 이 책은 선입견에서 시작해서 선입견으로 끝났다. 무언가 낯선 것을 기대했지만, 평이하게 끝나 버렸다는 씁쓸한 뒷맛을 남기고 있다. 하지만 독창적인 글쓰기 기법을 몇몇이 시도 했고 성공했다. 내부의 휘몰아 치는 칼바람을 그대로 담아 내기가 쉽지 않았을 것임에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