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 좋은 결정을 위한 뇌과학
조엘 피어슨 지음, 문희경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5년 3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책은 전투기 조종사인 제이슨의 사례를 예로 들며 시작된다.
제이슨의 사례는 직관을 설명하고 있다.
직관이란 더 나은 결정과 행동을 위해 무의식적 정보를 학습하고 생산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무의적이라는 성격에 기반하다 보니 우리가 아는 본능, 갈망, 중독, 휴리스틱 등 직관과 다소 헷갈릴 수 있는 개념들이 많아 혼란을 준다.
이것들과 직관을 잘 구분해 내는 게 직관을 잘 활용하기 위한 첫 단계라 할 수 있겠다.
제이슨은 무수한 정보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처리했고 이전에 비행한 경험을 토대로 결과와 연결해 순식간에 직감을 발휘하며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다.
직관의 힘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순간이었고, 긴장하면서 읽어나다가 안도의 숨을 내쉴 수 있었다.
인간은 인간의 의식 밖에 감춰진 정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조엘 피어슨의 '더 좋은 결정을 위한 뇌과학'은 직관의 본질을 이야기하고 이를 활용하여 의사결정을 개선하는 방법에 탐구하는 책이다.
작가는 직관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지침으로 다섯가지를 정리해두고 있다.
단어들의 앞글자를 따서 SMILE로 정리해 기억하기 쉽게 했다.
sele-awareness, mastery, impulses and addiction, low probability, environment
가 바로 그것이다.
책에는 과학적 근거를 갖춘 규칙마다 직관과 관련된 현실적이면서도 인생을 바꾸는 중요한 사례들이 소개되었다.
에베레스트 등반을 준비한 한 등반가가 등반 도중 배에 불편함을 느꼈는데, 이 신체적 신호를 무시하지 않고 하산을 결정하여 무사히 생존할 수 있었다거나 비행기 조종사가 비행 중 선대기의 지시를 무시하고 직관에 따라 경로를 변경하여 그와 승객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거나 하는 것들이었다.
자기 인식이 중요한 이유와 감정이 격해진 상태에서는 직관을 믿지 말아야 하는 이유, 어떤 분야에서 숙달도를 쌓은 이후에야 직관을 신뢰할 수 있는 이유도 설명하고 있다. 평소에 궁금했던 내용들이 수많은 데이터들과 함께 또렷하게 정돈되는 느낌을 받았다.
직관은 생각과는 달리 학습된 능력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삶의 영역에서 갖자가 개발해야 한다는 것도 알게 되엇다.
내가 평소에 내리는 결정들이 생각해보면, 직관에 의한 것들이 꽤나 많았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었고, 그것을 잘 활용하면 더 좋은 의사결정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