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막한 독서 - 안나 카레니나에서 버지니아 울프까지, 문학의 빛나는 장면들
시로군 지음 / 북루덴스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고전을 마주할 때의 막막함을 오히려 독서의 출발점으로 삼으라는 메시지를 담은 책 '막막한 독서'

독서모임 진행자로서의 15년 경험을 바탕으로 작가는 소설에 한 발자국 다가선다.

'막막한 독서' 는 소설 읽기를 원하는 어른들을 위한 독서 노트로 소개되어 있다.

독서 가이드가 되어주면서 독서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과 발견을 기록한 에세이이기도 하다.

문학은 어떻게 읽어야 하는 걸까? 어떻게 읽으면 당대 고평가받는 문학 작품들을 고스란히 느끼며 읽어낼 수 있을까.


고전을 해석하는 것을 보면 명문장에 보통 주목을 하지만, 이 책은 장면에 집중한다.

문장은 독자에게 여러 루트로 주입된 것인 반면 장면은 독자가 능동적으로 직접 발견한다는 것이다.

책을 읽은 이야기를 나눠보면 사람마다 기억에 남는 장면이 다르다.

누구나 끌리는 장면이나 기억에 남는 인상적인 장면을 능동적으로 찾게 된다.

이 책은 그것에 집중하는 것이다.

내가 왜 이 장면에 끌렸는지 거꾸로 스스로에게 물어보면서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 자체를 즐기게 된다.

장면은 이야기 속에서 의미를 형성하게 된다.

문학이 단순히 미학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삶을 반영하고 이해하는 거울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는 거 같기도 하다.

릴케는 한 권의 책 앞에 오래 머물며 자신만의 깊은 통찰을 얻으라고 조언했고, 버지니아 울프 또한 독서를 통해 자기 성찰과 성장의 기회를 찾으라고 했다.

책 읽기는 단순한 취미가 아니라, 인생의 다양한 순간 속에서 의미를 발견하는 행위이다.

도무지 읽히지 않는 책을 무작정 펼쳐놓고 멍 때리는 것, 펼쳐진 두 페이지 앞에서 오래 머무는 것. 바로 작가가 읽기 힘든 고전을 대하는 방법이다.

목적 없이 몇 분간 책 뒤적거리는 것. 그 시간, 그건 경험해보지 못한 사람은 느낄 수 없는 막막함과 설레임 그 경계 어딘가쯤일 것이다.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책을 요즘 자주 읽는다.

너무 재미있다.

작가들의 개인적인 삶을 들여다보고 그들의 작품을 떠올리고 그들의 생각을 읽어 내려가며 한번씩 내 생각도 얹어보고 하는 그런 일련의 과정들이 즐겁다.


책을 분석하는 다양한 방법과 시각들을 배울 수 있었고, 작가의 성격이나 과거, 책을 썼을 때의 상황들을 알고 읽는 것과 모르고 읽는 것은 너무 차이가 많이 난다는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더 생각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