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노블로 읽는 수학 이야기 쉽고 재미있는 인문학 3
인동교 지음 / 시간과공간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가장 쉽게 집어드는 형태가 그래픽 노블이 아닐까 싶다.

요즘 영재원 수업이 초등 때와 달리 수학사와 이론 위주로 진행되어 약간의 무료함을 느끼고 있다는 평가에 대비되게 이 책은 구성과 내용이 꽤 흥미롭다는 평가를 내려주었다.

아이가 책에서 읽은 내용을 나에게 달려와 이야기해 주고, 식탁 위에서도 손에 놓지 않고 읽으려고 한다.

아이는 수학을 좋아한다.


책은 시대순으로 쓰여 있었다.

기원전부터, 근대까지.


1장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

최초의 수학자 탈레스, 피타고라스의 정리 등을 다루고 있다.

많은 수학자들이 피타고라스 정리를 증명하려 한 것을 요즘의 챌린지로 설명했다.

2장에서는 헬레니즘 시대의 수학.

기하학 원론이 성경 다음으로 많이 판매되었다는 사실이 쓰여 있었다.

아르키메데스, 아폴로니우스, 히파티아가 등장했다.

아이와 황금비에 대한 이야기를 한참동안 나누었다.

3장에서는 중세 시대의 수학.

콰리즈미, 피보나치가 등장했다.

대수학에 있어 큰 업적들을 남긴 콰리즈미, 요즘 배우는 방정식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어주었다.

4장에서는 근대의 수학.

로그가 무엇인지 궁금해하던 아이의 눈이 커졌다.

네이피어, 메르센, 데카르트, 페르마, 파스칼, 뉴턴, 오일러, 가우스가 등장했다.


수학이 아무리 행복한 인간의 조건이자 신이 사용하는 언어라고 해도 어려운 것은 어려운 것이고, 아무리 멋진 의미가 담긴 학문이라고 해도 아이들은 수학을 어려운 과목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아이들이 수학을 다른 과목과 달리 대하는 데에는 점수 내기 어려운 과목, 선행해야 하는 과목이라는 선입견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문학을, 역사를, 과학을 좋아하는 아이도 그래픽 노블로 수학사를 풀어놓은 이런 책을 읽는 게 조금은 수학과 친해지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