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으로 읽고 각으로 쓴다 - 활자중독자 김미옥의 읽기, 쓰기의 감각
김미옥 지음 / 파람북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무 좋은데 달리 표현할 방도가 없네.

오호, 통제라!는 이럴 때 쓰라고 만든 표현인가 보다.


책 소개글을 읽었을 때도, 이 책이다 싶었는데, 읽어보니 좋다. 더더 좋다.

하지만, 얼마나 좋은지 앞으로 내가 쓸 단어들로 표현해낼 자신은 없다.


흔한 서평가들의 글을 읽는 것과는 느낌이 많이 달랐다.

한 사람이 쓴 글이라고 하기엔 책을 통해 다루어지는 영역이 너무나도 방대했다.

나도 일하는 시간 말고는 거의 책을 붙들고 있지만, 스스로를 활자중독자라고 말하는 그녀가 읽어내는 책의 양은 어마무시했다.

물론, 다독만이 그녀의 특징이라면 이 책을 읽고 놀랄 일은 없었을 것이다.

그녀의 글은 훌륭하고 진실했다. 알지 못하고 있던 세세한 부분까지 그녀는 알고 있었고, 스스로 판단했고, 그것을 자신만의 언어로 써놓았다.

글을 쓴다는 것만으로도 존재의 이유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고 했다.

어린 시절 병치레와 잦은 이사로 친구가 없었을 때 유일한 친구가 되어준 것이 책이었고, 그녀는 첫사랑을 무려 책방에 두고 왔다고 한다.

돈과 자기만의 방이 없는 가난한 여자였던 그녀는 지금 읽고 싶은 책을 살 수 있게 되었다. 분명 행복하겠지?

글의 소재는 다양했다. 서재 창 너머로 보이던 아파트 재건축 플래카드, 광주 이모, 독후감을 쓰지 못한 책도 소재가 되었다.


그녀는 연속으로 두 번 읽는 법이 잘 없다고 했는데, '기억 안아주기'는 두 번 읽었다고 했다.

처음에는 작가의 지적 소양에 반해서, 두 번째는 자가 진단과 자가 치료를 위해서였다고.

책을 읽을 때 내가 이 책을 왜 읽는지에 대해 생각은 해보지만 명확히 글로 옮기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끊임없이 읽고 글을 써내려간 작가는 나름의 그럴 수밖에 없었던 이유들을 간직하고 있었다.

궁금하신 분은 이 책을 읽으며 그런 부분들을 찾아 읽어볼 수 있길.

분명한 건 책읽기와 글쓰기를 통해 그녀는 버텨냈고, 일어날 수 있었다는 사실일 것이다.

내가 지금 그렇듯.


오랫동안 그녀를 지켜주었던 글들이 그녀의 깊은 내공이 되었고, 사람들의 공감을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이 책에서 충분히 그것을 느낄 수 있었다.

읽기와 쓰기를 지속해야 할 이유를 찾고 있다면 이 책을 만나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