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 - 대유행으로 가는 어떤 계산법
배영익 지음 / 스크린셀러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전염병이라는 단어에 이번에 떠진 구제역을 말하지 않을수 없다. 인체에 해롭다 아니다 뜨거운 감자가 아닐수 없다. 분명한

것은 이 구제역도 우리가 만든 병이라는 생각이 든다는 사실이다. 자연을 함부로 사용함으로써 우리가 아닌 동물들이 대신

받는것은 아니까 하는 생각에 가슴이 뜨끔하다. 구제역이라는 판정에 구덩이에 파묻힌 동물들을 위해서 기도를 하지 않을수

없다. 인류의 제앙은 아마도 바이러스 바로 전염병일 것이다. 과거에 우리가 알고도 백신조차 없어 죽어갔다면 지금은 알고

도 죽어갈수밖에 없는 현실이 되었다. 이 현실은 이 소설은 말해주고 있다. 실로 무섭지 않다면 거짓말이다.

 

시작의 서막은 바로 북태평앙 러시아 베링해다. 이곳에서 작업중이던 한 선박에서 문제가 발생하다. 문양호는 작업중에 유빙

과 충돌하게 되고 그순간 한선원이 바다에 빠지게 된다. 일주일 항해 끝에 해심호를 만나게 되고 잡은 명태를 넘기고 귀향하

던중 사라진다. 하지만 두명의 생존자가 있었던 가운데 문양호에서는 과연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길가던 한 시민이 쓰러

지고 점차 많은 감염환자들이 발생한다. 그 두명의 생존자중에 한명이라도 잡아야한다. 숙주는 그 한명중에 있다.

 

시작부터 간담을 서늘하게 한다.  또 내용중에 장티푸스 메리라는 부분에 관심이 갔다. 메리 본인이 숙주이조차 모르고 지내오

다 다른 사람들에게 간염이 되고 보건당국은 그녀를 지목하게 되었다라는 내용에 몰랐던 사실도 알게되었다. 전염병이 인간에

게 얼마나 무서운 존재인지는 지금도 충분히 우리는 겪으면서 살아왔다. 하지만 아직도 멀었다. 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덩달아

질병도 더 다양한 방법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이 무서운 현실이 이소설에 있다. 한편으로는 생각해봤다. 정말 이 소설이 사실

로 나타난다면 전 인류는 망할수도 있다는 부분이다. 끔찍하다는 표현은 이럴때 하는가보다. 그냥 지나치기에는 우리가 지금

겪고 있는 현실에서와 같이 무시할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허구로 만들어진 내용이지만 현실감있는 구성에 푹 빠지는 소설이다.

 

 

요즘들어 재난영화가 많이 만들어지고 있는 가운데 타이밍이 이토록 맞을수 있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하

는것은 자연이 곧 해독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우리가 쓰고 버리는 물건들로 인해서 1차적으로 땅과 하늘이 병들고 물

다음으로 우리가 병들어 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재난소설은 흔하게 아닌데 이번에 정말 독특한 형식의 책을 발견해서 재미도

있었지만 깨달음도 덩달아 생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