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마 상담소
이충현 지음 / 담앤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카르마, 보통 업業으로 알고 있던 개념이다. 그래서 카르마 상담이라는 개념이 낯설면서도 호기심이 생겼다. 카르마를 통해 삶의 인과관계를 보다 깊숙이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다. 늘 엉켜있는 듯한 삶을 헤메는 느낌이 들었는데, 이런 내면의 고통을 바로 마주해보고 싶었다. 어떤 치유의 이야기를 들려줄까 궁금한 마음으로 책을 읽기 시작했다.

🔖 고대 인도에서 기원한 이 개념은 본래 ‘행위’를 뜻한다. 즉 카르마는 내가 행한 바대로 그에 따른 과보果報를 나 자신이 어떻게든 받는다는 인과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_6p

🐧 왜 카르마인가? 과도한 경쟁과 결과중심적 사회분위기, 이로 인한 정신 건강의 적신호까지. 급변하는 사회에 결과에만 집착하다 보면 가장 중요한 ‘원인’을 놓치게 된다. 이 결과가 왜? 생겨났는지 아무도 질문하지 않는다. 질문하지 않는 사고는 결과만을 추구하며, 고여버리게 된다. 결과중심적 사고에서,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고 헤아리는 사고인 인과적 사고가 필요한 때이다. 이 사고에서 필요한 핵심이 카르마의 인과다.

🔖 원인을 등한시할수록 결과중심적 사고가 강해지게 된다. 따라서 결과만큼이나 원인도 중요함을 알고 이 둘의 연결성을 제대로 고려하고 확인하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_31p

🐧 우리 삶에서 일어나는 업이 카르마고, 카르마의 인과를 아는 것은, 삶에서 일어나는 일은 반드시 되돌아오고, 되풀이 되기 마련이라는 것이다. 결과도 마찬가지다. 반드시 일어난 원인이 있다. 내적 통찰과 카르마를 통해 이번 생을 이해한다면 심적 고통도 치유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 카르마 상담이다.

🔖 자기 통제력이 갈수록 빈곤해지고 있다는 것이 바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심적 고통의 핵심이다._36p

🐧 카르마도, 상담도 어렵고 난해한 주제에다 불교라는 종교적 사상도 담겨있다. 그렇지만 내 삶의 인과관계를 되돌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카르마를 공부해본다면 좋겠다. 가령 나는 어린시절 학대의 경험으로 다양한 트라우마 증상이 있어서, 상담 사례 2번에게 적용된 상담 원리들을 주의 깊게 살펴보았다. 사실 ‘뻔한 얘기 아닌가요?’ 라고 말할 수도 있겠으나, 카르마를 통한 고통의 접근은 매력적이다. 내면의 고통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었다.

🔖 우리는 트라우마를 겪는 이들의 고통에 진심으로 공감하고 지지하며, 피해자로서의 그들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일을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 그러면서 또 다른 한편으로는 그가 고통의 경험을 통해 더 성숙하고 지혜로운 모습으로 일상에 복귀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_179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