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너레이션 : 세대란 무엇인가 - 사일런트, 베이비붐, X, 밀레니얼, Z, 알파 세대 그들은 대체 누구인가?
진 트웬지 지음, 이정민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밀레니얼 세대라고는 하지만 끝자락에 태어나기도 했고, 내가 속한 밀레니얼 세대도, 다른 세대와도 영 소통이 힘들고 어려운 것 같다. 그러다보면 또 나만 이런가 싶어 세대에 대한 궁금함들이 있었다. 제너레이션, 이 책을 통해 시대와 세대를 관통하는 이야기를 사유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며 책을 읽기 시작했다.

🐧 사전 서평단으로 읽게 되어서, ‘5장 밀레니얼 세대’ 부분이 가제본으로 되어 있는 책을 읽게 되었다. 내가 읽은 부분은 130여쪽이지만, 실제로 책은 548쪽의 방대한 양이다. 그야말로 세대의 모든 것을 담았다고 할 수 있겠다. 세대를 아는 것이 왜 중요할까? 책은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을 말하기 이전 세대에 대한 새로운 평가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 현재 성인기의 가장 중요한 시기를 보내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에 대한 새로운 평가가 필요하다._164p

🐧 90년대~2000년대 초반을 학창시절을 보내면서 학생들은 절망과 희망을 연달아 겪어냈다. IMF로 가정이 무너지는 것을 보면서도, 밀레니엄에 대한 희망이 있었고, 촛불시위나 월드컵을 보면서 미래를 희망적으로 그려냈다. 부모세대보다 많은 것을 배웠고, 스펙이라는 단어가 중요해지면서 열심히 살아냈다. 그리고 밀레니얼 세대들은 취업 앞에서 좌절을 경험하며, 끝없이 추락하는 청년들이 되었다.

🔖 이렇게 긍정적인 자기 인식은 미래의 삶에 대한 높은 기대감으로 이어졌다. X세대에서 시작된 높은 기대감은 밀레니얼 세대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자신이 석사 학위를 취득한 뒤 전문직에 종사할 거라고 믿는 고교 졸업반 학생의 수가 계속 늘어난 것이다._270p

🐧 꿈꿨던 현실과는 멀어지며 찾아온 실망감은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쳤다.

🔖 이 같은 실망감은 밀레니얼 세대의 정신건강이 대학 졸업자들 사이에서 가장 눈에 띄게 악화된 이유 역시 설명해줄 수 있다. 그들은 누구보다 높은 기대치를 갖고 있었던 만큼 성인이 된 이후 자신의 삶에 대한 실망감도 가장 컸을 것이다. 해야 하는 모든 걸 성실하게 수행했지만 기대했던 모든 걸 손에 넣지는 못했기 때문이다._359p

🐧 그리고 이건 미국의 세대론에서만 다룰 수 있는 주제가 아닐까 싶다. ‘섹스? 홍수, 아니면 가뭄?’ 직진하는 제목이다. 감탄스럽다. 대한민국은 밀레니얼 세대가 40대가 되었는데도 ‘ㅅ’도 꺼낼 수 없다. 책에는 미국의 상황이라는 것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과도 크게 다르지 않은 세대론을 비교해 보며 읽는 재미가 있었고, 내가 살아온 인생을 되짚어볼 수 있어서 무척 흥미로웠다.

현재 성인기의 가장 중요한 시기를 보내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에 대한 새로운 평가가 필요하다. - P1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