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림트, 황금빛 유혹 다빈치 art 9
신성림 지음 / 다빈치 / 2002년 7월
평점 :
절판


사실 별 5개는 책의 지은이보다,구스타프 클림트에게 주고싶다. 그는 아르누보의 황금꽃이다. 그만큼 책의 작가는 소재를 잘 택한것 같다. 한국인에게 인기있는 클림트의 작품에 우린 항상 목말라하니깐..

내가 처음 클림트를 대한것은 역시 학생때 애인과 함께간 카페에서 금빛 조명을 받고있는 '키스'부터였을 것이다. 애인은 눈에 않들어오고 거기선 그 그림에 대한 칭찬만 했을 정도로 아주 인상적인 작품이다. 그때의 나로선 절대 잊혀지지 않는 충격이기도 했다. 저런 소재를 이렇게 아름답게 표현하다니!! 그때부터 인터넷을 뒤져가며 그의 그림이라면 무조건 모았다. 이성간의 애정,사랑,그리움,여성,어머니..이런것들의 작품의 모티브였다. 물론 나는 작품 '키스'를 작업 데스크탑마다 깔아놓는데, 연로하신 어머님은 이해하지 못하셨다.

사실, 유혹이니, 팜므파탈이니..사랑,누드,욕망,임산부의 벗은몸등은 사회에서 금기시 되고있다. 그의 스케치에 조금 낯뜨거운 자위나 사랑의 장면들이 있다. 그러나 그러면 어떠한가.. 인간의 욕망을 아름답게 표현한것이었다. 길을 잃고 들어간 이탈리아나 스페인의 박물관들의 뒤편엔 수많은 '금기된'작품들이 있었다. 모르는게 약이 아닌 세상에 남들보다 많이 알고 자유로움을 느끼는것은 '금기'의 달콤한 이면이 아닐까 한다. 키스,충만,기다림,황금빛 베토벤벽화,다나에,물뱀,여자의 일생들은 도무지 봐도봐도 질리지 않는다. 신화와 여성들의 아름다운 색채세계!! 정말 아름답다.

나는 이책에서 혼자만 생각하던 작가세계에서 벗어나 클림트의 어록과 그의 친구들을 만날수있었다. 그림속에 등장하는 인물들도 함께.. 좀 더 전문적으로 그의 그림에 접근하게 되어서 기쁘다. 클림트에 대해 알고있는 분이나 그렇지 않은분, 모두 그의 작품세계로의 여행을 권하고 싶다. 정말이지 놀랍고 환상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진 수정.복원을 위한 Photoshop
캐트린 아이스맨 지음, 박광식 옮김 / 길벗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인터넷 서점들마다 칭찬의 연속이었던 책! 이런 책은 자신들만 봐야했었다고 말하던 귀여운 서평자가 생각나는군요. 나는 그래픽분야_특히 포토샵합성에선 나름대로 자신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간혹 작게는 이력서 사진들 수정해주고,동생 여자친구 사진 예쁘게 뽑아주고,지금하는 웹디자인에서도 간간히 합성을 하고 있지만, '복원'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해보지 않았습니다.

이 책은 수정과 복원에 대해 작가의 노하우를 잘 담고 있습니다. 작업 환경에 대한 조언부터 장비를 설명하는것으로 시작하고 있으며, 습관적으로 적용하던 툴들을 기본대로 차근차근 설명해줍니다. 원리를 잘 이해하지 못했던것들도 말입니다. 게다가 보정 레이어를 사용하는 방법,흑백 사진을 칼라로 만드는 방법, 피부색 보정하는것 까지.. 이것은 진정한 수정과 복원의 대가의 숨결이었습니다.

우후~ 보는것만 해도(저는 포토샵을 잘 다룹니다) 필이 막꽂히면서 내가 한것은 장난이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감동한것은 추억을 복원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8년전 돌아가신 아버지와의 옛사진들을 어른이된 우리들과 나란히 서 계시게 할수있다는 생각이 들자 눈물이 돌았습니다. 이번에 고향에 내려가면 꼭 아버지 사진을 식구들과 함께 합성해서 나머지 가족들과 나누고 싶습니다.

자신이 가진 기술을 후진들과 나눌때야,그 사람은 진정한 프로로 한걸음 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Open Source, Open Min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지털 시대의 정보 디자인
클레멘트 목 지음, 김옥철 옮김 / 안그라픽스 / 1999년 7월
평점 :
절판


전공을 디자인으로 하신분으로 보이시는 'eugenelee12'의 말씀대로 이 책은 새로운 디자인의 경향이나 인터넷의 기술적인 흐름에 대해서는 말하지 못하고있다. 한국에서의 초판년도 1999년이고 미국에선 96년도에 나온 책이다. 그러니만큼 작가는 ~95년 이전의 지식을 가지고 썼을 게 틀림없다.

그렇지만 조금 편안한 마음으로 전반적인 정보디자인의 목적을 읽는 소설처럼 대한다면 한결 편안하고 간결하게 와 닿는다. 처음부터 끝까지 책의 주제는 디자인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시각화, 그를위해선 컴퓨터작업이 불가결하게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그 간결해보이는 원리를 개념적으로 잘 설명해주고 있다. 비전공자에겐 목마른 '개념서'라고 할수있겠다.

편집역시 인터렉티브하다. 그러면서 요즘시대의 인터넷과 디자인을 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기계적인 기술이 전부가 아니라 회사의 마인드와 개발자의 창의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일깨워주는 책이다.

결국 이 책은 전공자들이 아닌, 웹개발자나 기획자,좀 더 발전하고싶은(기술적인 면이 아니라 개발의 방향) 웹디자이너들에게도 유용할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가격이 만만찮은 만큼 주위사람에게 권하는것도 좋은 방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lower & Tree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꽃과 나무 이야기
마리안네 보이헤르트 지음, 마리아-테레제 티트마이어 그림, 이은희 외 옮김 / 을유문화사 / 2002년 7월
평점 :
절판


뛰어난 일러스트로 꽃이 상징하는 의미와 상징화된 사물에 대해서도 이야기해준다. 그 이야기의 바탕은 그리스와 일본 중국등의 고문서와 신화들에서 부터다.. 대상이되는 나무와 풀들은 우리가 친숙한것들로 부터 (쑥이나 무화과 나무같은) 낯설어 형태를 잘 알지못하는 호두나무나 떡갈나무,아네모네,붉은 토끼풀 같은 것들까지 매우 다양하다.

생태학적인 관점보다는 인문학적+역사학적인 관점으로 쓰여진것으로 보인며 인간의 관점에서 의미를 부여함으로서 관심을 갖게 되는것이다. 여름에 꽃피우는 '팬지'만하여도 '나를 생각해주오',또는 '뛰어서 키스해줘'라는 낭만적인 꽃말을 갖게 된다. 마치 김춘수의 '꽃'이란 시가 딱들어맞는 내용이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의미(눈짓)가 되고 싶다.

꽃에서 의미를 찾아내어 나름대로의 추억을 만들수 있는 그런책이다. 집들이를 가더라도,연인에게 선물을 하나 하더라도 '작업'용으로도 유용하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즐거운 달리기
안네마리 주텔 지음, 신영혜 옮김 / 가야넷 / 2001년 9월
평점 :
품절


같은 시기에 '세상에서 가장쉬운 마라톤'과 같이 주문해서 읽었는데, 그 책을 먼저 읽어서인지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그 책은 얇지만 집약적인 정보가 있다) 여성 장거리 주자가 갖춰야할 장비와 식습관, 훈련등에 대해서 나와 있지만 생각보다 많이 알려주지는 않는다.

나도 어느 정도 운동 경험이 있기때문에 좀더 전문적인 조언을 원했다. 운동을 심하게 하면 생리불순이 생길수 있다던가, 탄수화물 섭취후 바로 하는 운동등은 해롭다던가, 혼자 나가는것은 위험하다든가 하는 보편적인 이야기가 많다. 신발에 대한 이야기도 어느정도 알고 있는것들이라 다소 실망스러웠다.

연예인들이 나와서 '달리는거 몸에 좋아요~'라고 말하고 있지만 이미 그런것은 알고 있는 나로선 차라리 훈련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더 많이 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동기 유발만 하고있고 끝맺음이 없어서 아쉽다. 역시 이 책은 '달리기를 할까,말까'고민 하는 분들께 필요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일단 표지도 괜찮고,간간히 국내외 사람들의 성공담들이 있다. 이 책을 보고 마라톤 분야로 뛰어드는 사람이 많다면 그 역시 조금은 성공했다고 생각한다. 여성분야의 트레이닝 책이 더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바이블 같은 책은 없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