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개 - 토종개에 대한 불편한 진실
하지홍 지음 / 글로벌콘텐츠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의 개?

보통 떠올리게 되는 개가 진돗개와 삽살개일것 같다.

시작부터 ??? 의외의 내용을 접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개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그.런.데... 옛 문헌이나 민화등에 등장하는 개 중에 진돗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단다.

그런개가 한국의 대표적인 개로 지정이 되었다?

일본의 토종개로 천연기념물로 재정된 개가 6종이란다.

일제 강점기에 모리교수가 식민지의 개도 본토의 개와 혈연적 연관이 깊다는 주장을 하기 위해 진도섬의 개를 조선 총독부의 천연기념물로 지정해서 보호하자는 의견을 내 놓았고 그것이 내선일체의 징표로 받아들여 1938년에 조선의 천연기념물 제53호로 지정된 것이란다.

일본개 6종이 진돗개와 모양새에서도 비슷하긴 하다.

일제강점기인 1938년부터 1945년 사이 8년동안에 우리 토종개들 150만 마리 이상이 죽임을 당해 껍질이 벗겨져 군수품으로 이용되었단다.

그래서 문헌에 등장하고 민화속에 등장하는 여러 토종개들이 멸종이 되어 버렸다.

이제 겨우 읽기 시작했는데... 시작부터 화가 확 올라온다.

자신들의 개는 천연기념물까지 지정하면서 보호하고 ... 일본의 의식이 확실히 드러나는 내용이다.

하긴... 그들이 전쟁을 하고 식민지하에서 사람들에게 했던 행동들이 있는데 그것이 동물에게라고 다를까.

민화속에 등장하는 너무나 멋진 개들이 이제는 그림으로만 볼수 있다니 참 안타깝고 미안하다.

우리의 대표적인 토종개는 어쩌면 진돗개가 아니었을지도.

단순히 진도섬에서 기르던 개고 다른 무수한 개들이 일반적으로 사랑받고 사람들과 함께 해 온 것이었지 않았을까 싶다.

그중 삽살개 하면 흔히 큼직한 모습에 털이 길어서 눈을 가리는 장모의 개를 연상하는데 삽살이도 단모가 있다는걸 처음 알았다.

개를 참 좋아하고 다양하게 길렀었는데 단편적으로 알고 있었구나 하는걸 제대로 느낀다.

이 책을 통해 우리의 여러 토종개에 대해 알수 있어 흥미롭고 좋았다.

이제는 볼수 없는 여러 우리 토종개들이 궁금하고 인간의 욕심과 이기심에 의해 세상에서 사라져야 했던 역사의 아픔에 다시 또 속상해지기도 한다.

사람도 동물도 ... 전쟁에 승리하고서도 패전국으로 부터 칭송받았다는 알렉산더대왕의 이야기가 새삼 떠오른다.

겉으로 드러나는 외형적인 모습은 차이가 있지만 유전적인 면에서는 비슷한 혈통을 보이는 여러 분류들도 흥미롭고 다양한 서양 개들과의 비교도 재미있다.

개들이 가지고 있는 성향에 대해 알수 있었던 점도 좋고... 이제는 그저 반려견만이 아닌 사회속에서 여러 역할을 하고 있는 개에 대한 내용 등 다양하게 다루어 놓은 폭넓은 이야기들이 가득하다.

이 책을 내기까지 참 많이 연구하고 조사하고 그동안 많은 시간을 들이고 고생하셨겠구나 싶어서 고마운 마음이 든다.

이렇게 자신의 분야가 아닌 분야를 연구하며 우리 토종개중 장모 삽살개를 복원해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받게 하고 단모 고래개도 복원해서 현재 혈통 정립중이란다.

꾸준히 우리 토종개들에 대해 연구하고 복원, 보존하는 일에 애쓰고 계셔서 우리의 귀한 통종개들이 세상에서 사라지지 않고 우리와 함께 할 수 있으니 감사하다.

여러 개들을 키워봤는데 ... 언젠가 마당있는 집에서 우리 토종개 삽살이를 키워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