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옆집에 영국남자가 산다 - 유쾌한 영국인 글쟁이 팀 알퍼 씨의 한국 산책기
팀 알퍼 지음, 이철원 그림, 조은정.정지현 옮김 / 21세기북스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환경에 잘 적응하고 우물안 개구리처럼 보이는 것에 대해 당연시 하고 잘 받아들인다.

그래서 옛날 지구가 네모라고 생각했던 사람들이 수평선 끝에는 깍아지른 절벽이 있어 떨어진다고 너무나 굳게 믿었기에 지구는 둥글다는 갈릴레오를 법정에 세우기까지 했다.

이 책은 너무나 익숙한 환경, 우리의 의식, 행동들에 대해 우리가 아닌 다른 나라 사람의 시각에서 우리를 볼수 있게 한다.

우리 옆집에 영국남자가 산다... 사실 몇년전만해도 주위에서 외국인을 보게 되면 자연스럽게 눈길이 가고 호기심이 생기곤 했다.

그들이 우리의 가까이 있다는 것이 그렇게 익숙하지 않았다.

그런데 단지 몇년 지났다고 우리 주변에는 무수한 외국인들이 함께 어울려 살아간다.

이제는 당연한듯이 그들을 대하고 스쳐 지나가면서도 많이 무심해지고 있다.

방송에도 많은 외국인들이 거리낌 없이 대화하고 함께 웃고 공감한다.

다문화란 단어가 등장한지 몇년 되지 않았는데 이제는 너무나 자연스럽다.

외국인인데 한국인보다 더 한국인같은 사람들을 방송에서 여러명 보고 있다.

저자는 방송인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사람은 아니다.

기자이고 푸드칼럼리스트란다.

기자의 특징이 있는듯 호기심을 가지고 우리나라 여기저기 구석 구석을 다녀보고 사람들의 모습을 서양인의 시각으로 보고 느낀 것을 적었다.

그냥 대한민국 사람들은 이렇게 놀더라, 이런문화를 즐기더라 식의 그냥 보고 느낀것을 적는게 아니고 자신의 나라 영국에 대해 이야기 하면서 서로 다른점, 같은점, 아쉬운점 등 다양한 관점에서 장.단점, 차별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단순히 영국인의 시각으로 우리를 보는게 아니어서 그의 시각을 통해 우리도 보고 영국도 보며 어떤 차이가 있는지 ... 아니 차이라기 보다는 서로 다름에 대한 여러 모습들을 같이 볼 수 있어 흥미롭다.

궂이 외국인이 아니어도 창가에 앉아 차한잔 하면서 길 거리를 지나가는 사람들을 보면 걸음걸이나 대화하는 표정, 행동, 옷차림 등 보여지는 모습만으로도 참 다양함과 선입견이 될수 있는 그 사람의 면면이 느껴진다.

그러니 영국남자 팀이 보는 우리의 모습, 행동들은 어떨지 궁금했다.

그리고 그를 통해 보게 된 우리 모습은 생각했던 그대로도 있지만 의외의 모습들도 보게 되어 새롭고 재미있다.

그 모습 그대로 좋기도 하지만 일부 모습은 고쳐야겠구나, 생각을 바꿔야 겠구나 하는 생각도 같이 해보게 된다.

내가 일하는 곳 근처에도 몽골학교가 있어 주변에서 몽골 사람들을 보게 된다.

신학교도 있어 공부하러 와 있는 외국인들도 다수 있고 결혼해서 가족을 이룬 다문화 가정들도 상당히 있다.

우리언어가 모국어가 되어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혼열의 아이들의 모습이 너무나 자연스럽고 그들의 미소를 보며 머리 카락이나 눈동자 등의 다른 색이 전혀 어색하지 않다.

영국인 팀이 사람하는 우리의 먹거리는 우리에게도 역시 사랑받는 메뉴들.

서양인이 보는 우리에게 익숙한 미신에 대한 것이나 어릴적부터 자연스럽게 익숙해져 있는 한자가 서양인에게는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온 사방이 산이라 등산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지 그들의 패션에 대한 그의 생각은 공감하면서도 솔직히 좀 웃기기도 하다.

그동안 딱히 생각해 보지 않았던 우리의 삶의 모습들, 당연하게 받아들이던 것들에 대해 한번 생각해 볼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그를 통해 우리의 유쾌한 면들을 만날수 있고 변화되어야 할 모습들을 볼 수 있었다.

우리도 다른 나라를 여행하고 와서 내놓는 여행기에서 그 나라를 짧게 경험하고도 주저리주저리 우리의 생각, 시각으로 만나게 된 것들을 적는데 오래도록 함께 어울려 살았기에 이런 이야기들을 적을수 있었을 것이다.

그를 통해 우리나라를 여행한듯한 그런 기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