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물질 의문 100 - 생활세제, 의료품, 화장품, 농수산물, 공산품은 얼마나 안전한가
사이토 가쓰히로 지음, 장은정 옮김, 임종한 감수 / 보누스 / 2016년 12월
평점 :
절판


아는 만큼 보인다고 했다.

모르면 약, 아는 것이 병이다라는 말도 있다.

방송에서 뭐가 좋다 하면 우루루 좋은것을 찾아 가고 먹고 구입하고 한다.

뭐가 나쁘다 그러면 이것저것 따져보지도 않고 우선은 멀리하고 본다.

그래서 피해를 입는 이들도 있고 품귀현상도 생기고 ... 그러다 어느순간 또 흐지부지 잊혀지기도 한다.

정말 세상은 요지경이란 말이 저절로 떠오르곤 한다.

모든 사람들의 비슷한 반응일테지만 특히나 우리나라 사람들의 반응은 정말 빠르다.

나는 그런 현상들에 대해 좀 둔감하게 반응하는 쪽이다.

뭐가 나쁘다고 해서 무조건 피하지도 않고 뭐가 좋다고 해서 또 바로 그걸 쫒지도 않는다.

유행이나 사람들의 선호도에 덤덤하게 좀 떨어져서 반응하는 쪽이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는 좀 민감해졌다.

생각보다 참 몰라도 너무 몰랐다 싶은 내용들이 가득하다.

물론 세상이 발전하다 보니 인위적인 물질들을 이용한 편리한 것들이 생겨났다.

그러다보니 환경 호르몬에 대해 민감한 이야기들도 많이 나온다.

알러지나 민감한 피부 반응을 가진 사람들은 인스턴트 음식이나 화장품, 페인트 등 인공적인 요소들에 대해 그 반응이 확실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그런면에서 난 체질적으로도 좀 무난하게 태어났다.

어떤면에서는 감사할일이다.

주위에서 흔하게 사용하는 부탄이나 화장품, 세제 같은 생활용품들이나 식품보조제, 영양제, 방부제, 식품 표백제 같은 것, 자연물인 화초, 반려동물, 조개, 기생충, 버섯 같은 식품, 생물류 및 농.수.축산업 현장속의 유해물질들, 말해 뭐하나 싶은 공업용품속에 들어 있는 성분들이 인체나 자연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내용들이 가득하다.

읽고나니 세상에 피해야 할것이 너무나 많다.

뭘 먹고 뭘 사용해야 하는걸까?

산속에 들어가 살아야 하나 싶은 생각이 들 정도다.

어느정도의 유해환경속에 살아갈수 밖에 없는 세상이지만 그래도 이렇게 내용을 보고 나면 조금이라도 덜 유해물질을 대할 수 있게 될것 같다.

우선은 세제 사용시에 함께 사용하지 않아야 할 것에 대한 생각을 하게 하고 비슷한 제품을 구입하더라도 성분을 보고 조금 덜 유해한 것으로 고르게 되고 조심하게 될 것이다.

요즘은 세제 등 여러 분야에서 친환경적인 제품들이 다양하게 나오고 있다.

가격이 좀 비싸거나 번거로워서 편하게 기존의 제품들을 이용해 왔는데 조금 신경 더 쓰게 되고 가격을 좀 더 추가해서라도 우리의 환경속에서 유해 물질을 단 하나라도 줄여가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내용중에는 우리의 일상에서 궂이 알지 않아도 될 것들에 대한 것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우리가 얼마나 엄청난 환경속에 있는지 실감하게 된다.

분리수거에 대한 생각도 더 깊이하게 된다.

건전지 수거함이 흔히 볼 없어서 모아놓고 버리지 못하고 있어 가끔 그냥 쓰레기통에 버릴까 하는 생각을 하곤 하는데 더욱 철저히 분리해야겠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환경을 위해 분리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느끼게 한다... 버리지 않고 모아두고 있는게 다행이다 싶다.

동네 어딘가에서 분리함을 본것 같은데 잘 찾아봐야겠다.

요즘들어 분리수거에 대한 필요성을 더 많이 강조하고 있다.

얼마나 예능 방송에서도 다루었었는데 조금더 신경써서 분리하는 일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실천했으면 좋겠다.

주변 환경이 너무 위험스럽게 느껴지지만 그래도 제대로 잘 알아서 우리의 환경, 자연이 더 이상 훼손되지 않고 우리의 삶속에 유해물질이 깊이 파고들지 않도록 관심 갖고 주의하고 제대로 된 친환경 물질을 이용한 제품들에 관심과 개발이 되길 바래본다.

정말 아는 만큼 주의하고 잘 대처할 수 있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