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은 노인에게 길을 물어도 좋다 - 길을 잃은 청춘이 노인에게 물어야 할 32가지 질문
다사카 히로시 지음, 김현석.김경범 옮김 / 리오북스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치열한 세상에 맞서 살다가 백발이 성성해진 성공한 노인은 강연을 통해 젊은이들이 세상을 살아가며 조금이라도 덜 아프길 원하며 인생의 경험을 나눈다.

사람들은 그를 스승이라 부르며 존경한다.

그 사람들 중에 한 청년이 인생의 힘든 시기를 겪어나가며 예전에 들었던 강연을 떠올리며 노인을 찾아온다.

그리고 두 사람은 32가지 질문을 하고 그에 대해 답을 하며 인생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그 이야기들이 희곡 대본처럼 노인 :  청년 : 하며 주거니 받거니 대화가 이어진다.

대화체 이기에 문장이 그렇게 길지 않다.

그래서 읽기가 참 편하다.

누가 말하는 건지도 확실히 알면서 읽게 되니가 내용에 대한 이해도 빠르다.

역경, 자아, 강인, 감사, 생사의 5가지 주제로 5~7가지 질문과 답변을 담았다.

청년은 지금 인생에 있어 힘들어 선생님을 찾아와 답답한 마음을 토해내고 있다.

선생님은 담담한 어조로 삶의 의미를 들려준다.

그 이야기속에서 젊은이가 그대로 예예 하며 스폰지처럼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다.

의문도 있고 이해할수 없음에 반론도 제기한다.

그렇게 대화는 계속 이어지면서 차츰 이해도 되고 떠올리는 의문도 이야기하고 또 대답이 이어지면서 인생에 대한 노인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청년은 현재 힘든 상태다.

그래서 궁금한것도 많고 알고 싶은 것도 많고 답답한 마음에 앞이 밝혀지는 해안을 얻고 싶기도 하다.

그런 그에게 선생인 노인은 차분하고 진지하게 그리고 끈기있게 마음을 다해 청년을 위로하고 자신이 걸어온 길에 대한 여러 이야기들을 전해준다.

선생의 삶이 청년에게 100% 적용되는 이야기를 줄 수는 없다.

그래도 다만 10% 일지라도 그의 삶의 길에서 조금이라도 덜 실수하고 실패하지 않는 길을 갈 수 있다면 그나마 다행이 아닐까.

중간중간 삽입된 그림들도 따뜻하고 편안한 느낌을 준다.

주고받는 이야기들을 잘 연결시키며 중간에 잠시 그림을 보며 쉬어 갈수 있게 해준다.

고래, 물고기, 그네, 나이테나무, 새장, 강 등등 단순하지만 깊이 있는 느낌이 다가온다.

마음의 안정을 갖게 하는 어깨펴는 연습에 대한 이야기는 보통 가슴을 펴며 심호흡을 통해 마음을 가라앉히는 행동과 비슷한 방법이지 싶다.

그렇게 생각에 대해 행동에 대해 상황에 대해... 들려주고 듣고 나누고 공감하는 내용들이 주제별로 담겨있다.

일본작가의 글이라 사실 우리와는 정서적으로 조금 다른 부분도 있지만 대다수 살아가는 인생의 관점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은 이야기들이라 청년의 질문도 이해되고 노인의 답변도 경청하게 된다.

인생을 먼저 살아온 멘토로서의 노인의 이야기에 많은 생각을 해 보게 된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