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집을 생각하다 - 사람이 행복한 지속가능한 집에 대한 통찰
최명철 지음 / 청림Life / 2016년 10월
평점 :
'집?' 하면 떠오르는건 뭘까?
나는 휴식을 떠올린다.
나만의 공간, 누구의 시선도 생각하지 않는 자유로움과 여유.
가족들과 함께 하는 공간이라는 건 가장 기본이고...
어릴적 집에 들어갔는데 아무도 없을때... 보통은 쓸쓸하거나 허전하다, 무섭다 등의 이야기를 한다.
그런데 나는 좀 달랐다.
왠지 더 편하다고 해야할까!!! 왜 인지는 모르지만 혼자인 집에서 난 냉장고, 냉동고를 열어보고 이것저것 찾아내서 맛있는 걸 만들어 먹고 뭔가 이것 저것 일을 벌여놓곤 했다.
누군가의 의견을 묻거나 상황을 고려할 필요 없이 내 생각대로 하고 싶은 일을 하고 먹어보고 싶은 실험적인 음식을 거침없이 만들어 먹는다.
대게 실패하는 경우는 없었기에 오로지 나만을 위한 요리나 정리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좋았는지 모르겠다.
이 책속에 등장하는 여러 집들의 경우 예전에 획일적이고 그저 주거만을 위한 공간이던 집이 살아갈 사람들의 다양한 성향을 고려한 외관이나 소재, 형태를 추구하는 모습이 참 인상적이다.
시작부분에 소개된 한 마을을 이루는 5가족의 제각각의 집을 계획하며 이루어진 고려들과 배려, 취향, 디자인의 적용을 보며 각집에 살아가는 사람들을 충분히 생각하고 자연과의 조화, 서로간의 유대를 살리며 지어지는 과정들이 참 대단하다 싶었다.
5가구가 살고 있는 양구의 제각기 다른 특징을 가진 집들을 보게 된다면 각각의 독특함과 멋진 모습에 눈길이 끌릴것 같다.
그리고 욕심이 난다.
나도 저렇게 원하는 여러 조건들을 충족하며 지어진 집에 살고 싶다는...
그저 남의 집이려니 하면 그저 부러워하다 말겠지만 꼭 남의 집만은 아닌 나도 가질수 있는 집일수 있는 것이기에... 그것이 언제가 될지는 몰라도^^ ... 나중에 나도 이러이러한 집을 지어서 살고 싶다는 생각을 할 수 있을것 같다.
미리 청사진을 그려놓고 훗날 집을 지을때 참고하도록 내놓을수 있으면 좋지 않을까.
이미 지어져 있는 여러 집들의 형태를 통해 집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하고 옛 건물들을 보면서 집에 대한 생각을 적용해 본다.
현재뿐 아니라 앞으로 살아갈 미래의 집의 형태에 대해서도 짚어준다.
평범한 집은 없다.
계획되고 배려되고 목적을 충분히 소화한 그런 집들이 특별한 느낌을 준다.
오토바이를 타는 이를 배려한 공간을 갖는 집 같은 경우 사람을 위한 맞춤이 그대로 느껴져 살아가는 이가 참 행복하겠다는 생각이 저절로 든다.
트레일러를 이용한 이동형 주택만 생각했는데 책속에 소개된 이동형 주택은 그런 느낌이 전혀 없다.
옮겨서 다른 곳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집이라... 생각지 못했던 집의 느낌인데... 그 아이디어가 참 좋은것 같다.
뒤에 소개된 자연을 그대로 살리며 자연속에 어우러져 살아갈수 있게 만들어진 집들이 영화나 만화속에나 등장할것 같은 집의 모습이라 동경하던 모습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어 눈길이 그대로 멈춰 버렸다.
그러나... 이건 좀... 정말 원하는 집의 형태지만 꿈꾸기에는 여러 변수들이 많아서 거의 기대하지 않지만 그래도 아주 작은 소망으로는 남겨 놓고 싶어진다.
정말 정말 살아보고 싶은 집이다.
너무나 독특하고 다양한 아이디어와 사람에 대한 배려가 담긴 집들을 보고 생각할 수 있어서 참 좋았다.
미래에 내가 과연 어떤 집에서 살게 될지 기대되고 조금은 미리 꿈꾸며 살아가게 될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