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 대문 : 사서 편 - 인생에서 꼭 마주치는 질문들에 대한 동양고전의 답 고전의 대궐 짓기 프로젝트 1
박재희 지음 / 김영사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에서 꼭 마주치는 질문들에 대한 동양고전의 답... 이라는 부제가 눈길을 끈다.

누구나 생각하고 답을 구하는 그런 인생의 질문에 대한 답을 동양고전에서 만날수 있다?

이 책은 사서편이다.

우리가 내용은 정확히 몰라도 익히 알고있는 사서삼경이라는 단어속에 등장하는 사서다.

논어.맹자.대학.중용을 다룬다.

논어와 맹자는 2개로 나누어 총 6개의 대문을 열게 된다.

초반글에 이 글에서는 대문의 한쪽만을 열고 나머지 문도 열게 될 것이라는 글로 앞으로 또 다른 고전의 대문 책이 나올것임을 예상하게 한다.

저자는 고전의 대문은 지식의 대문이 아닌 지혜의 대문이라고 말한다.

그 지혜의 문을 열고 들어가는데... 보통 고전을 다룬 책들이 꽤 방대하고 재미적 요소는 없고 어렵게 정리되어 있어 읽고나도 내용을 잘 모르겠고 페이지 진도가 잘 안나가던 기억이 있어 살짝 염려된다.

그러나 기우다. ㅎㅎ

내용 특성상 한자는 페이지에 많이 보여서 단순히 페이지만 보면 어렵겠다 하는 생각이 들지만 참 쉽게 편하게 읽을수 있게 풀어 놓았다.

중간 중간에 내용을 잘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놓은 표들도 눈길을 끈다.

내용으로 설명하고 그것을 한눈에 딱 보기좋게 표로 만들어 놓았다.

요점 정리를 해 놓은 참고서 같은 느낌^^

공자나 맹자의 이야기는 단편적으로 읽은 내용들이 꽤 되기에 익숙한 내용들도 있지만 더 깊이있는 내용으로 접할수 있다.

거기에 흔히 읽게 되지 않던 대학과 중용의 내용들도 좋았다.

사서의 내용들만 다루는 것이 아닌 저자의 경험담이나 다른 이야기들도 들려주며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글을 참 편안하게 풀어 놓는다.

라디오, TV에서 특강들을 많이 진행하며 쉽게 이해시키는 능력을 인정받아 꽤 유명한 분이던데 그 친근한 이해력이 책에서도 자연스럽게 드러난다.

다른 여러권의 저서들도 이렇게 편하게 읽을 수 있게 쓰여져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나중에 서점에 들리면 찾아봐야겠다.

어쩌면 찾아보며 몇페이지 펼쳐보다가 흔쾌히 계산대로 향하게 될지도 모르겠다.

가장 현실적인 질문들에 대한 고전속 답들이 인생의 정답은 아닐지라도 고전속에서 알려주는 내용을 읽으며 내 나름의 인생의 답을 떠올려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지 않았나 싶다.

고전을 다룬 책들을 많이 보지는 않았지만 이만큼 편하게 읽은 책은 없었던듯 싶다.

한자문화권 시대의 내용들이니 당연히 한자들이 많이 나온다.

한자의 뜻에 따라 내용이 중요해지니 사자성어도 많이 나오고... 익숙해 지지 않는 한자들을 보며 살짝 글자의 뜻이 궁금하다.

학생시절 옥편 찾아보며 한자 배우던 기억이 가물가물...

왠지 이 한자는 어떤 뜻인가 찾아보고 싶어진다.

한쪽 문을 열었으니 다른문도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