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록 - 피로 쓴 7년의 지옥. 진실을 외면하는 순간 치욕은 반복된다, 책 읽어드립니다
류성룡 지음, 장윤철 옮김 / 스타북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순신이 없었다면 전쟁에 패했을 것이고 류성룡이 없었다면 나라가 망했을 것이다.


조선 임진왜란 시기에 두 인물은 너무나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순신과 한 동네에서 살았던 류성룡이 선조에게 이순신과 원균을 천거해서 큰 전란의 위기를 넘길 수 있게 했다. 

책 머리 글에 적힌 글 '죽은 사람의 뼈까지 갈아마시게 한 7년의 전쟁. 이것이 바로 지옥이었다.'

내용을 읽지 않아도 그 당시 임진왜란 기간에 조선의 백성들이 얼마나 고통받고 힘들었겠는가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너무나 오래전 조상들의 이야기인데 한 문장 만으로도 마음이 먹먹하다.

일본에서는 베스트셀러였지만 조선에서는 잊혀진 책이란 말이 마음 찔리게 한다.

지금이라도 우리 역사에 대한 관심과 과거를 되돌아보며 진실을 바로 보게 된다면 다행이다. 

얼마전 tvN 방송 '책 읽어드립니다'에서 소개되며 관심이 높아져서 다행이다.

시작은 류성룡이 어떤 인물인가를 알려준다.

초상화 속의 모습이 당당하고 믿음직하다.

류성룡이 이순신과 한 동네에 살았던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

이순신에 대해 적어놓은 글귀에서 류성룡이 본 시각으로 어린시절을 알 수 있다.

어릴적부터 평범하지 않았던 이순신을 알게 된다.


두 차례의 왜란을 겪으며 백성들의 고통을 지켜봤던 류승룡은 징비록을 저술하게 된 마음을 전하는 한줄.

' 다시는 이런 일이 이 땅에 일어나면 안 된다는 마음으로 기록했다. '



초반 잠시 이순신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는데 뒤에서 이순신을 발탁한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나오며 이순신의 초상화도 볼 수 있다.

책 하단에는 옥색 띠 공간을 편집해서 내용중 참조해야 할 내용들을 따로 적어놓아서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조선시대의 장비나 인물, 상황에 대해서 알 수 있게 하는데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단어들이기에 내용을 읽어나가는데 궁금할 만한 것들을 해결해 주니 좋다.

  


7년동안의 전쟁의 상황들과 이기고 지고 백성들의 고통과 조정의 상황변화들에 대한 내용들이 쭉 진행된다.

모두가 한 마음이 되어 어려운 시기를 이겨내야 하지만 예나 지금이나 백성들은 마음을 모으는데 많이 배우고 혜택을 받는 이들이 너무나 이기적이어서 참 씁쓸하다.

선조가 피난한 길과 관군, 의병들의 활약지역을 표시한 지도다.

검은색 화살표가 왜적의 침입로다.

국토 전체를 누비고 다닌 흔적이 조선 전체에 얼마나 많은 고통을 주었을지 한눈에 보인다.

검은 사각 관군과 하얀사각 의병의 활약지에서 어려운 시기를 어떻게 이겨낼 수 있었던 것인지를 짐작하게 한다.

모두가 하나되어 이겨낸 왜란.

이후로 똑같은 고통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7년의 이야기를 전하는 내용에서 앞으로 준비하고 경계해야 할 것들을 생각하게 하는 내용이다.


그런 준비가 현재도 진행형이다.

우리나라는 많은 어려움 속에서 하나로 뭉치는 저력을 보여왔다.

좋은 일에도 나쁜 일에도 우리는 한 마음이 된다.

월드컵, 올림픽 같은 운동 경기에서도 경기침체시에 금 모으기를 하던 때에도 홍수나 산불 등등 자연 재난 가운데 마음을 모아 성금을 내고 태안으로 기름띠 제거하러 가고~  등등

현재도 우리는 마음을 모으고 협력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가 불안한 때에 걱정을 하면서도 우리의 이겨내고 있는 대응책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 너무나 잘 해내고 침착하게 잘 따르고 있다.

일부 문제가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우리는 크게 불안에 떨며 생필품 사재기 등을 하지도 않고 정부의 지침을 잘 따르고 있다.

그런 단합하고 하나되는 건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우리 몸속 DNA 유전자의 힘이 아닐까 싶다. 

앞서 메르스로 인해 우왕좌왕했던 경험이 이번 코로나19에서는 대응을 신속하게 하고 그 당시 준비했던 음압병실이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과거를 통해 현재를 보고 여전히 되풀이 되는 상황들에 황당하고 하나되는 모습에 마음 뿌듯해진다.

류성룡의 징비록을 통해 7년 전쟁을 쭉 경험하고 정말 전쟁은 없어야 한다는 생각을 다시한번 하게 된다.

그가 있어 조선이, 대한민국으로 이어져 존재할 수 있었음에 감사하다.

잘못된 것은 인정하고 외양간은 고쳐서 다시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자료를 남겨 놓는 이들이 있어 다행이다.

그동안 <징비록>이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이제라도 알려지고 많이 들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참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