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는 건축가다 - 자연에서 발견한 가장 지적이고 우아한 건축 이야기
차이진원 지음, 박소정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3월
평점 :
절판



책 표지에 나와 있는 그림만 봐도 뭐지? 하면서 눈길이 간다.
보통 생각하게 되는 새집과는 다른 모습이다.
나뭇가지를 하나씩 물어가서 바구니처럼 둥우리를 만드는 것이 많이 보게 되는 형태다.
사람들이 나무집을 만들어서 달아주기도 하지만 자연에서 보게 되는 새집을 떠올리면 거의 한가지.
그래서 표지속 집도 그렇고 책 제목이 <새는 건축가다> 이기에 왠지 더 다양한 새들의 건축물(?)을 기대하게 된다.

그.런.데... 시작이 재미있다.
제1장 집짓기 선조와 무주택자
무주택자는 약간 감이 온다.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남의 집에 알을 낳는 새에 대해 알고 있어서 그 경우가 아닐까 예상!
집짓기 선조는?

오? 의외다.
공룡이 등장한다.
공룡이 알을 낳아 부화시키던 둥우리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이제껏 생물학자들이 많은 조류 화석을 발굴했지만 새 둥우리 화석은 발견된 적이 없다고 한다.
조류의 둥우리 건축 발전사를 설명할 길이 없다고.
조류의 건축 본능이 그들의 조상인 공룡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으로 시작하게 되는 이유다.
무주택자... 둥우리 없는 새는 예상했던 남의 집에 알을 낳는 벙어리뻐꾸기, 두견새, 검은머리오리도 있지만 그냥 나뭇가지 위에 낳는 흰제비 갈매기, 쏙독새, 절벽에 알을 낳는 바다오리, 아버지 발등에서 부화되는 황제펭귄 등 다양하다.


생각지 못하게 하나의 둥우리에서 서로 공생하는 새들도 있어 흥미롭다.
미국, 텍사스 지역에는 천연나무 구멍이 부족해서 요정올빼미와 힐라딱따구리가 함께 기거한다.
새들이 서로 부족함을 인식해서 서로 배려한걸까?
둘 사이에는 서로 도움이 될만한 관계가 형성된다.
활동하는 시간대가 낮과 밤으로 나뉘는 특징때문에 함께 하지 않아도 되는 점도 있지만 알이 잘 부화되도록 하는 환경에 유익한 장남뱀을 집에 키우며 조류 기생충과 곤충들을 제거해준다.
둘이 아닌 셋이 사는 셈이다.
몇일전 방송에서 거대한 집에 여러 새들이 아파트처럼 사는 모습을 본적이 있는데 책속에서는 떼둥우리를 소개하고 있다.
퀘이커앵무들이 사는 둥우리 모양은 정말 놀랍도록 정교하고 보는 것 만으로도 이웃 사촌들이 모여사는 멋진 동네를 연상시킨다.  


둥우리 모양들이 정말 다양하다.
망처럼 생긴 집, 흔히 알고 있는 바구니같은 둥우리, 땅속에도 집을 만들고 나무속에서도 살고 물 위에도 둥우리를 만든다.
나뭇가지로 얼기설기 짓는다 생각했는데 너무나 멋진 작품 둥우리도 있고 정말 다양하다.
조류뿐 아니라 일부 다른 동물들의 집짓는 형태에 대해서도 조금 다루어준다.
요즘 서울에서는 잘 보기 어려운 제비집 같은 경우는 진흙을 이용한 집이다.
처마밑에 작게 만들어서 드나들던 모습은 어릴적에 흔하게 보던 모습이고 <흥부와 놀부> 이야기에서 등장하듯이 너무나 일상속에 가까이 있었는데 지금은 보기 어렵다.
3년전부터 가까이서 제비집을 보고 제비가 새기를 낳아 기르는 모습을 보게 되어 자라가는 모습이 너무 신기하고 재미있었는데 너무나 작은 집 안에 새끼가 4마리나 있어서 놀라웠었다.
어떻게 그들의 몸속 유전자는 가르치지도 않은 건축법을 그대로 이어가고 있는지 신기하기만 하다.
새들의 놀랍고 신기하고 재미난 건축법을 볼 수 있는 정말 귀한 자료들이 가득해서 좋다.
추천사에 '벽에 걸어놓고 감상할 수 있는 책' 이라 적혀 있듯이 그림들도 내용도 상세해서 공부도 되고 다양한 새들에 대해 알 수 있다.
아이들에게도 보여주면 정말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