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의 통찰 철학자들의 명언 500 - 마키아벨리에서 조조까지, 이천년의 지혜 한 줄의 통찰
김태현 지음 / 리텍콘텐츠 / 2020년 3월
평점 :

이천년의 지혜 한 줄의 통찰.
이천년 기간 동안의 동서양 철학자들의 명언을 이 책에 담았다.
명언은 딱히 떠오르지 않거나 잘 몰라도 철학자, 작가로 이름이 익숙한 마키아벨리, 세네카, 카네기, 소펜하우어, 파스칼, 니체, 까뮈, 프로스트, 스피노자, 아우렐리우스, 괴테, 생텍쥐페리, 샤르트르, 톨스토이, 칼릴 지브란, 조조, 한비자, 제자백가, 법정스님.
생소한 이름은 루쉰 한명이다.
보통 많은 명언집들에서 생소한 이름들을 많이 보게 되는데 이 책에서는 단 한명... 이런 경우도 있네^^
그.러.나... 어디선가 들어봤던 이름일뿐 작품을 읽거나 잘 아는 인물은 몇 없다.

일단 인물의 살았던 시대나 활동에 대해 요약해서 알려준다.
그가 생각했던 삶에 대한 인생론, 세상에 대해 가졌던 생각들과 남긴 문장들을 영어 원문과 함께 적어놓았다.
르네상스 시대의 이탈리아 사상가이며 정치철학자였던 마키아벨리로 시작한 명언은 1,2,3,... 쭉 이어진다.
그래서 마지막 인물 우리나라의 법정스님의 마지막 명언이 500 이 된다.
인간은 변덕스럽고, 위선적이며, 탐욕스러운 동물이다. - 마키아벨리
가장 강한 사람은 스스로를 통제할 수 있는 자이다. - 세네카
돈은 바닷물과 같다. 마시면 마실수록 목이 말라진다는 점에서 그렇다. - 쇼펜하우어
짧은 한 줄에도 그냥 내용이 그대로 이해되고 마음에 닿는 내용들이 많다.
긴 문장으로 설명된 글들도 여럿 있다.
일부 문장들은 읽으면서 글쎄? 하고 생각해 보게 된다.
여러 철학자들이 남긴 명언이 모두에게 다 공감되는 내용이 아닐 수 있고 일부에게만 공감을 얻지 못할 수도 있는 거니까.

명언들이 적혀지다가 중간 중간 철학자들이 가졌던 사상에 대해 주제들이 나온다.
그리고 그 주제와 연관되는 명언들이 나온다.

1장은 사람과 처세에 대한 통찰
2장은 사유하는 인간에 대하여
3장은 대문호들이 던지는 철학적 교훈
4장은 생각의 폭발을 이끈 동양의 철학자들
4장은 동양의 철학자들이어서 인지 서양의 철학자들보다는 익숙하다.
여러 책속에서 인용된 내용들을 많이 본것도 있고 읽은 책들도 꽤 된다.
동양의 철학자들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한자 원글과 함께 적었다.
법정스님의 책은 여러권 본적이 있어 내용들이 기억에 떠오른다.
가장 유명한 무소유에 대한 글귀가 468번째 명언이다.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우리가 선택한 맑은 가난은 부보다 훨씬 값지고 고귀한 것이다. - 법정스님
난을 키우다 암자를 오래 비워야 했던 때의 일화가 떠오른다.
요즘 미니멀 라이프에 대한 이야기들을 많이 하는데 그런 개념으로 봐도 되겠다.
마지막 500번째 명언은?
사람은 본질적으로 홀로일 수밖에 없는 존재다. 홀로 사는 사람들은 진흙에 더렵혀지지 않는 연꽃처럼 살려고 한다. 홀로 있다는 것은 물들지 않고 순진 무구하고 자유롭고 전체적이고 부서지지 않음이다.
좋은 명언, 공감할 수 없는 명언, 이해하기 어려운 명언들 500개로 채워진 1권속에 다양한 생각들을 읽을 수 있었다.
조조가 끼어서 좀 의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