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영실 - 이재운 역사소설
이재운 지음 / 시그널북스 / 2020년 1월
평점 :
이제운 역사소설 장영실이다.
'조선최고의
과학자, 역사속으로 사라지다'라는 문구에서 알수 있듯이 그의 삶을 만나게 된다.
표지에
그려진 별자리 배치를 보며 현재 상영되고 있는 세종과 장영실에 대한 영화 천문이 떠올려진다.
그의
발명품들의 공통점은 시간,날씨와 관련된 것들이 많다.
농경사회로
비가 적게 와도 많이 와도 늘 피해를 입고 시간을 가늠하기 어려워 곤란해 하던 백성들의 삶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기 때문이다.
세종이
백성들을 두루살펴 널리 편안케 하고자 한 마음을 장영실에게 전하면 그가 연구하고 결과물을 내 놓아 조선이 과학으로 앞서 가게 된 것이다.
요즘
신조어 표현으로 브로맨스다.
세종은
과학적인 면에서는 장영실을 아꼈듯이 다른 분야에서도 찾는 이들이 정해져 있었다.
그렇게
두루두루 알맞는 인재들을 곁에 두고 평생에 백성들을 위한 성군의 길을 걸으신 것이다.
이
책의 방향은 세종이 아닌 장영실 이기에 그에 대한 것을 주로 다루지만 중간에 나오는 내용들에서 세종이 얼마나 많은 생각을 하고 백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고민하고 결과들을 이끌어 냈는지를 알 수 있다.
흔히
장영실이 노비에서 면천되고 높은 지위를 얻으며 많은 발명을 하다 노년에 왕의 가마를 만든것이 부서져 벌을 받게 된다는 것이 알려진
내용이다.
단순히
생각하면 그런 일이 왜 생겼을까도 의문이지만 그런 정도로 수많은 업적이 무시되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책
속에서 장영실이 왜 노비가 되었는지 어떻게 면천이 되고 인정받고 그가 어떤 상황으로 인해 파직과 장형을 받게 되는지를 알게 된다.
의문들이
사라지고 당시 조선이 처해있던 약소국의 안타까움을 느끼게 된다.
현재
상영되고 있는 천문에서는 그가 많은 시기를 받는 내용이 나오는 걸로 안다.
이재운의
역사소설속에서는 그런 부분은 아주 약하게 다루고 있지만 당시 그를 시기했던 이들이 많았을것이란 생각이 든다.
어쩌면
너무 미화하고 있지 않나 싶을 만큼 사랑받고 능력을 펼쳤던 장영실의 삶의 이야기가 청소년 권장 도서같은 느낌을 준다.
다른
역사소설 속의 장영실은 어떻게 그려졌을까? 궁금해지는 이유다.
표지의
그림도 멋지고 책속 내지의 수묵 그림도 멋스럽다.
각
제목 옆에 그려진 그림도 담백하다.
기왕
그림을 넣었으니 내용중 나오는 여러 발명품들도 그림으로 그려 넣어주었으면 더 좋았겠다는 아쉬움이 있다.
어떻게
생겼나? 궁금해 하면서 보게 된다.
말로
설명을 쫙~ 하고 있지만 상상이 잘 안된다^^
그.래.서...
장영실의 발명품들을 찾아보았다.
다른
발명품들도 있지만 소소하게 만들었다가 다시 고쳐서 더 정교하고 기능이 좋게 만들어진 것들이다.
박물관이나 교과서
등에서 익히 본적이 있는 것들이다.
지금처럼
책들이 많아서 자료가 풍부한것도 아니고 세계 여러 나라가 기술 제휴를 하는 것도 아니고 그저 중국 명나라에서 1년 문물을 보고 배우고 서책들을
구해서 연구해 이렇게 놀라운 발명품을 만들다니... 그저 머리가 좋고 재주가 뛰어나고 관심이 있다고만 가능한것은 아니다.
세종대왕은
자연과 인쇄술, 언어 등등 백성을 생각하며 많은 것들을 이루어 놓았고 그런 일을 가능하게 한 전폭적인 지원과 인재 키움을 이룬 대단한 왕이듯이
그들의 인재들도 정말 대단하다.
장영실에
집중했지만 세종대왕과 그 주변 신하들의 대한 존경까지 저절로 생겨난다.
이렇듯
백성을 위하고 아끼는 왕과 신하들이 오랜 역사속에서 그렇게 많지 않다는 것이 안타깝다.
지금
현재의 정치인들의 모습에서도 그런 아쉬움이 느껴지니 안타깝다.
네이버에
검색하니 바로 찾아준다 ㅎㅎ
(재미있는
발명 이야기> 책 속의 우리나라의 에디슨, 장영실의 발명품들에 소개된 것이다.
이렇게
보니 정말 대단한 발명품들이다~
혼천의
(1433년)
천체의 운행과 위치 그리고 적도 좌표를 관찰하는 데 쓰이던 천체 관측 기구
앙부일구
(1434년)
해의 그림자로 시간을 재는 시계.
시계
판이 가마솥같이 오목하고, 이 솥이 하늘을 우러르고 있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현재
경복궁에 전시되어 있다.
자격루
(1434년)
물을 부으면 저절로 움직여 시간을 알려 주는 자동 시보 장치가 달린 물시계.
지금은
1536년 중종 때 개량해서 만든 보루각 자격루가 덕수궁에 남아 있다.
복잡한
자동 시보 장치가 없어지고, 3개의 물통과 2개의 물받이통만 남아 있다.
수표
(1441년)
물의 높이를 재는 기구로 서울 청계천과 한강에 설치했다.
물의
양을 수시로 확인해 홍수나 가뭄에 대비할 수 있어서, 백성들이 농사를 짓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