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
아리아의 부분적인 내용과 극에서 배역을 맡은 인물의 역량 및 소화해야 하는 음의 영역등에 대한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그래서
아리아를 부르는 인물이 달라 같은 작품을 더 소개하기도 한다.
흔히
주인공이 부르는 아리아가 유명하지만 조연격인 인물의 아리아도 소개해서 다양하게 작품을 알 수 있게 한다.
제목과
음악가, 오페라 이름이 적히고 소개하는 오페라에 대한 시대적 이야기, 음악가와 연관된 이야기 및 출연한 성악가에 대한 저자가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들을 통해 작품과 음악가 및 그 시대에 대한 이야기를 알 수 있다.
이미
잘 알려진 작품들도 있지만 음악의 이름도 생소하고 작품 이름도 생소한 내용도 소개받게 된다.
남성의
역할을 여성이 하거나 여성의 역할을 남성이 맡는 경우에 대한 것도 알게 되며 극 속에서 어떻게 불렀을까? 궁금해진다.
예전에는
음반을 따로 구입해야 들을 수 있었던 음악들을 쉽게 온라인에서 찾아 들을 수 있는 시대가 되어 궁금하면 검색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미
아는 곡이든 처음 접하는 곡이든 작품에 대한 저자 손수연님의 글 속에서 그 장면과 노래가 궁금하고 듣고 싶어지게 한다.
그만큼
음악이나 여러 이야기들을 흥미롭게 담아냈다는 것이다.
옛 신화속 이야기들은 많은 화가들이 그림의 소재로 많이 그렸다.
그래서
다양한 그림들이 남겨져 있는데 특히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체'는 그림과 조각, 음악 및 이야기로 많이 만나게 된다.
글루크의
오페라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체> 소개글 속에는 프레데릭 레이턴의 동일한 그림작품으로도 연결되어 소개된다.
이렇게
오페라와 그림이 연결되는 작품으로 소개되는 것도 있지만 대다수의 내용에는 직접적인 그림보다는 연상되는 다른 작품을 소개하고 있다.
레온카발로의 오페라 <팔리아치>는
유랑극단에서 일어나는 일을 다룬 작품으로 오노레 도미에<곡예사의 퍼레이드>란 그림과 연결지었다.
팔리아치의 내용은 아니지만 유량극단을 연상시키는 작품으로
떠올려진것이다.
푸치니의
유명한 오페라 <나비부인>은 클로드 모네의 <기모노를 입은 카미유>와 함께 소개된다.
그림속에서
그녀가 기모노를 입고 있어서 이 작품이 '나비부인'에서 연상되었을지 모르겠다.
그
시대의 여성 화가였던 카미유는 모네와 연인으로 그의 작품속에 모델로 자주 등장한다.
몇달전
18~19세기 인상파 그림에 대해 강의를 들을 기회가 있었기에 이 작품 뿐 아니라 등장하는 몇몇 작품들이 눈에 들어오고 작품에 대해 기억이 나서
새로운 오페라를 소개받는 것 만큼 반갑고 읽고 보는 재미가 더해진다.
다음에
이 책에서 새롭게 알게된 오페라를 무대에서 보거나 음악으로 듣게 된다면 익숙한 느낌에 또 반갑지 않을까 싶다.
요즘 '알폰스 무하'의 그림 전시회가 열리고 있던데 이 책을 통해 그의 그림에 대해 알고 나서 거리의
포스터를 보니 이전에는 그냥 지나치던 길에서 자꾸 눈길이 간다.
옛 명화들 뿐 아니라 현대의 미술들 까지 접할 수 있었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알고 나서 듣고 보는 것은 확실히 다른것 같다.
새로운 것을 알고 느낄 수 있어서 책은 늘 가까이 해야할 귀한 지식 친구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