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길고 짧은 건 대 봐야 아는 법 -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 대한민국까지, 재판으로 보는 세계사 ㅣ 청소년을 위한 인문학 콜라보 3
권재원 지음 / 서유재 / 2019년 1월
평점 :
법에 대한 것이라고 소개된 것을 짧게 읽고 크게 관심을 갖지 않았다.
그.런.데... 소개 내용에 보니 단순한 법에 대한 것이 아닌 사건과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었다.
그리고 만나게 된 이야기들.
재미난 것도 있고 어처구니 없는 것도 있고 화도 나고 안타까운 것들도 있다.
고대 그리스의 법정부터 중국, 미국, 조선시대, 현대 우리나라에서 있었던 재판까지 여러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 시대를 알고 흐름과 사람들의 생각을 볼 수 있다.
'법' '재판'하면 먼저 떠올리게 되는 것이 소크라테스와 갈리레오다.
역시나 맨 처음 등장하는 인물이 소크라테스다.
그러나 소크라테스의 유명한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은 정작 그가 한말이 아니란다.
플라톤의 <파이돈>에 나와 있는 두사람의 대화 내용에서 그 당시의 재판에 대해 법이 정의롭게 공정하게 진행되지 않는 경우들이 있음을 알 수 있고 소크라테스가 자신에게 내려진 형에 대해 억울하다는 입장을 하고 있어 악법이라는 이야기를 사람들이 하게 된 것이란 내용이 인상적이다.
당시에 소크라테스는 살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가졌지만 스스로가 죽음의 길을 택한 것으로 나와 있다.
그의 선택이 그리스 아테네의 법 체계를 악법으로 만들어 버린 셈이다.
재판 과정의 독특한 내용들과 소크라테스가 가지고 있던 생각, 행동들이 단순히 알고 있는 그에 대한 내용을 더 깊이 있게 해준다.
솔직히 그렇게 고집스런 행동으로 사람들을 불편하게 하고 추방을 원하던 이들을 당황스럽게 하는 사형의 길을 가야했을까? 하는 생각을 들게 한다.
명 연설로 정치적 기반이 부족했던 키케로가 집정관의 자리까지 오를 수 있었던 재판의 진행 이야기는 흥미롭고 통쾌하다.

고대 아테네의 정치제도를 통해 어떻게 법이 적용되고 악용되기도 했는지를 알게 된다.
이렇게 내용 중간에 알아 두면 좋을 상식적인 내용들이 한장씩 표로 소개된다.

사회적 흐름과 국가적 방향으로 인해 억울하게 죽음을 맞이한 인물 사코와 반제티.
솔직히 이들에 대해 알지 못했다.
이들이 단지 사건 현장 앞으로 지나치다 붙잡힌 이유로 당시의 정치적 이슈와 방향에 부합한 인물이 되어 억지로 범죄자가 되고 죽음에 까지 이르지만 그들의 유죄를 인정하지 않은 미국 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의 시위를 이끌어 내어 세계를 들썩이게 했던 사건이다.
정말 억울한 사건이지만 이들은 죽음앞에서도 너무나 의연했고 평범했던 이들이 역사에 이름을 남기고 무수한 세월이 지나면서도 부당한 재판과 사회적 흐름에 희생된 사법 살인으로 기억되고 있다.

내용들을 보면서 해당 사진 자료나 일러스트가 하나씩 있어도 좋겠다 생각했는데 딱 사진과 마주했다.
뒤에는 우리나라 현대에서도 무고하게 정치적으로 희생되어 피해당한 사례들이 등장한다.
국가가 법이 무엇때문에 누구를 위해 있는 것인지? 씁쓸해지는 내용들이다.

조선시대 재판과 형벌에 대한 내용도 흥미롭다.
조선시대에 있었던 재판의 내용을 통해 조선시대가 얼마나 서류가 잘 되어 있었는지 놀랍다.
서류가 있어서 잘잘못도 가리고 제대로 판결도 내릴 수 있었다.
조선시대에 나주 목사 김성일의 <노비사건> 재판의 흥미로운 재판 과정은 재미와 그 당시의 사회 모습도 들여다 보게 한다.
나주 목사 김성일이 유명한 분이던데... 좀 찾아봐야겠다.
노비 다물사리 사건을 통해 당시의 노비제도가 어떠했는지도 알 수 있다.
영화, 사극속 장면들에서 전장에서 도망가는 탈영병이나 잘못한 병사를 베어버리는 장면들이 실제로는 조선시대 법에 어긋난 것이란 기록이 흥미롭다.
임진왜란 당시에 권율이 잠시 직위 해제된것이 법적 절차에 따르지 않고 탈영병을 죽인 때문이란다.
영화나 드라마가 고증을 100% 적용하지 않기는 하지만 이제껏 보아왔던 내용들에서 제대로 이런 부분을 다루었던 것이 있었던 기억이 없다.
작은 조선이 이렇게나 법치국가였다는 사실이 놀랍다.
좀더 우리나라를 잘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책들을 통해 모르거나 잘 못 알고 있던 것들이 제대로 잡히게 된다.
이 책이 법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당시의 그 사건, 사람들, 사회와 정치, 세계사의 흐름을 다루고 있기에 더 재미있게 읽히는것 같다.
이 책 선택이 아주 만족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