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잡지 - 18~19세기 서울 양반의 취향
진경환 지음 / 소소의책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8~19세기 서울 양반의 취향... 이라는 부제를 달았다.
이 시기의 우리나라 사람들의 모습에 대한 전반적인 것이 아니라는 거다.
우리 역사속에서 서울 4대문안에 살던 양반들의 관심과 의복,장신구 및 선호하던 물품들 및 노는 문화, 먹거리 등을 집중 다루고 있는 것이다.
중심 제목만 보고 조선시대의 여러 모습을 담았을거라 꽤 흥미롭겠다는 생각을 했는데 부제를 보고 너무 한정적인 사람들의 이야기라 살짝 실망스럽기도 하다.
그래도 가볼수 없고 실제적인 사진들이나 영상등으로 무수한 자료로 남아있는 모습들이 아니기에 누군가가 써놓은 책속 글귀에서, 화가가 그린 시대표현 그림속에서, 거의 근대화 되어가던 시기에 귀하게 담겨진 사진속 모습 및 발견된 물품들을 통해 우리는 조선 선조들의 모습과 만나게 된다.
한국사 안의 귀한 자료들을 저자가 무수히 모아 이렇게 우리가 만날수 있게 해 놓아서 너무나 좋은 기회가 된다.

표지속에 조선의 여러 모습들을 그림으로 잘 담았다.
입는 의복, 장신구, 다루는 악기, 자연의 모습 등등.
그저 무심히 보고 사극등에서 보게되는 의상들을 보며 가끔 좀 다르게 하면서 그저 멋스럽다는 생각만 하게 되는데 책 내용을 통해 나름 이유있는 디자인들이 흥미롭고 조선의 선조들이 가지고 있던 생각과 그 시대의 유행들이 재미나다.
시대가 변하면서 다양한 관심들은 새로운 디자인과 문화를 따라가기도 하지만 어느새 복고로 돌아가는 모습도 보게 된다.
그 복고의 관심이 요즘 다시 돌아온듯 싶다.
책속 옷깃의 모양처럼 달리는 색상이나 모양에 대한 적용도 제각각 의미가 있다. 
조선 시대에 사용하던 악기와 양반들의 놀이법, 관심사들에 대한 내용도 담았다.
그림속에서 보게 되는 모습들이 인상적이다.
예전 같으면 영화, 드라마, 그림속에서 보게 되는 모습들이 그냥 무심히 지나쳐 졌을텐데 이 책을 보고 나니 그냥 넘어가게 안될것 같다.
참 다양한 모습들이 다 의미가 있는 것이다.

사람들의 조선 시대에 즐겨 입던 옷, 갓, 장신구, 신발 및 머리에 쓰는 관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이 위 모습처럼 그림 및 사진으로 다양성을 고증하고 있어 실제로 가보지 못하고 글로만 상상 하게 되는 것이 아니어서 다행이다.
멀리에 쓰는 관 모양이 옷차림과의 맞춤이나 사용하던 벼루 및 여러 장신구들이 갖는 미적 모양들이 지금처럼 멋을 즐기고 남과 다른 특별한음 원하던 양반들의 취향을 담고 있다는 것도 보게 된다.
예나 지금이나 특별하고 싶고 멋내고 싶고 유행을 만들어 가고 쫓아가는 것이 시대에 관계없이 다 비슷하다는 걸 보니 복고가 괘히 돌고 도는게 아니가보다^^
잡지의 여러 특성으로 나온것이 아니 특집 코너를 보는 것 같지만 이렇게 색다른 내용으로 조선의 양반 사회를 알게 되는 새로움이 있어 좋았다.
다음에는 양반 말고 다른 일반 계층의 내용도 다루어 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