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발로 만나는 우리 땅 이야기 1 - 서울 두 발로 만나는 우리 땅 이야기 1
신정일 지음 / 박하 / 2018년 6월
평점 :
절판


문화사학자 신정일의 도보답사기라니 저자와 함께 서울 여행을 한다는 기대감을 갖고 책을 펼쳤다.

여행을 떠나기에 앞서 서울이 수도로 정해지게 된 이유, 풍수지리에 의한 주변 배경, 이름에 대한 여러 사전 지식들을 쭉 일러준다.

우리나라에 많은 지명들이 있는데 딱 한곳, 서울만이 유일한 우리말 땅 이름이란다.

늘 살아오던 곳이라 크게 한국의 수도 서울이 얼마나 좋은지 모르고 지내지만 외국인들은 감탄한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

나라의 도심 수도에 강이 흐르고 산들이 가까이 연결되는 곳이 없다고.

우리나라 사람들은 정말 산을 좋아한다.

내가 사는 동네에도 아차산이 가까워 비가오나 눈이오나 덥든지 춥든지 아랑곳없이 산을 향하는 분들을 어마하게 보게 된다.

정말 대.단.하.다. 생각이 저절로 드는데 가까이에 이렇게 자연과 함께 할 수 있다는 것이 나도 참 좋다.

옛날 도읍이 정해지고 사람들이 선호하던 지명등에 대한 이야기들을 쭉 읽고나서 서울 곳곳의 이야기들과 만나게 된다.

그래도 내가 가본 곳들이 꽤 있어서 반갑고 그곳의 여러 이야기들을 알게 되니 좋다.

이곳에 이런 사연들과 역사가 함께 했구나 싶어 다음에 다시 찾아가게 되면 그 이야기들을 떠올릴수 있겠구나 싶어 내용을 다시 읽고 찾아가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서울이 사실 크지 않은듯 하지만 은근히 가볼곳 많고 가보지 못한 숨겨진 곳들이 많아서 책 내용을 따라가며 신기하고 재미있고 궁금해진다.

책 속에는 현재 보다는 옛 사진들이 꽤 많다.

현재와 비교해 놓았으면 어땠을까 싶긴 하지만 그래도 옛 모습을 보며 '이랬구나!' 새로운 기분이 든다.

지방으로 외국으로 많이들 여행을 가는데 가까이에 있는 곳들 먼저 찾아보면 좋을것 같다.

1박2일, 2박3일 일부러 시간내서 준비 단단히 하고 비용 많이 들여서 가지 않아도 어느날 문득 생각나면 가볍게 운동화 신고 대중교통 이용하고 걸으며 둘러볼 수 있으니 좋지 않은가!

저자가 서두에 적은 내용이 공감된다.

서울 사람들은 서울의 강과 산의 고마움을 모르고 살아간다고 '바다에 가면 산이 그립고, 산에 가면 바다가 그립다'는 인간의 심성 때문에 그럴거라는... 서울 사람들이 다른 지역 사람들보다 63빌딩 올라가보지 못하고 한강의 유람선 타보지 않은 경우가 많은 것도 그런 이유일까? ㅎㅎ

가까이 있어 소중하고 귀한지 모르는 것... 이제는 그 가까이를 찾아보면 좋겠다.

역사속의 다양한 우리 주변의 이야기를 알수 있어 즐거운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