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의 노래 - 가슴에 머문 바람
유광우 지음 / 하움출판사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때 남북간 교류가 꽤나 자유로웠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금강산-개성 관광이 가능했던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잘 모르는 분들이 많겠지만 인천-평양간 직행 항공기가 정규편으로 있었고 당시 제가 근무하던 회사에도 일정 개인 부담을 원칙으로 북한 평양 시장 조사나 마케팅 활동을 제안하는 공문이 돌곤 했었죠. 그때 평양을 가보지 못한게 많이 아쉬울 정도입니다.

원산의 노래는 약 20여년 전 경수로 건설을 위해 파견되었던 유광우 씨가 당시의 경험을 정리한 에세이입니다. 북한이 당시엔 핵확산 금지 조약에 가입한 상태였기에 미국은 북한을 이에 묶어두기 위해 경수로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제안했고 북한이 이를 승낙했었죠. 비용은 미국이 거의 부담하되 건설 등 기술적 제공은 남한 측에서 하기로 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이후 북미 관계 경직에 따라 없었던 일이 되어 버렸고 열받은 북한은 본격적으로 자체 핵 무기 개발에 나서게 되죠..


장교 출신인 저자는 상당히 보수적인 시각으로 당시의 경험을 정리합니다. 당시 고난의 행군을 마치고 경제가 최악이었던 북한의 사정 역시 감안해야 하지만 저자의 관점에서 보는 북한은 상거지 나라에 다름 없습니다.

1980년대에 접어 들며 사실상 체제 경쟁에서의 우위는 판별이 난 상태였습니다. 핵을 제외한 재래전이 발생하면 단 3일이면 북한은 끝장 나는 상황입니다. 일부 세력이 정치적 목적으로 북한의 위협을 과대 포장하고 있지만 전쟁은 결국 경제력 싸움인건 자명한 사실이죠.. 굳이 혹독한 경제적 제재를 감수하고 욕을 바가지로 먹어가면서까지 북한이 핵을 들고 나온 것은 그야말로 자위권 측면이 강하다고 봅니다.



저자는 북한은 예나 지금이나 철저한 통제 사회임을 유독 강조하고, 실패한 공산주의 국가임을 적극 피력합니다.


전 세계로부터 제재 대상이 된 북한이 세계 10위 권 내 경제력을 갖게 된 남한과 비교 대상이 될 수 없음은 명확합니다. 단지 어떻게든 평화를 유지하며 가는 것이 중요하며 파멸적 갈등과 전쟁으로 해결하자고 하는 것은 말을 꺼낼 가치도 없는 선동적 행위에 불과합니다.

이미 저자는 20년 전에 그 사실을 명확히 보았고 느꼈습니다. 당분간 통일은 요원할지 모르고 섣부른 흡수통일이나 무력 통일은 더 큰 부작용을 부를 수 있습니다. 지금은 같은 언어와 풍습을 가진 하나의 민족으로서의 유대감은 가지되 서로 철저하게 평화를 최우선으로 두는 이웃 나라로서 공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 북한 체제를 비판하던 저자 역시도 북한의 동포들만큼은 한없이 긍정적으로 묘사해주었기에 더욱 그렇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