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집 - 대한제국 마지막 황족의 비사
권비영 지음 / 특별한서재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권비영 작가의 소설은 이번이 세번째입니다. 100만부가 넘게 팔리고 손예진 주연의 영화로까지 만들어진 덕혜옹주와 여성 독립운동가 하란사에 이어 이번 '잃어버린 집'까지입니다.

그러고 보니 대한제국과 일제시대를 주로 그려내고 있는 작가네요. 이번 소설은 고종의 막내 아들이자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였던 영친왕 이은과 그의 아내 마사코(한국명 이방자) 비, 그리고 그들의 아들 마지막 황태손 이구와 아내였던 줄리아 멀록의 이야기입니다. 이구가 자손을 남기지 못하고 죽었기에 정통 조선 왕조의 계보는 이은의 형이었던 영친왕의 후손들로 이어져 오고 있죠..


일제의 식민지가 된 조선에서 왕족이란 신분은 사실 빛 좋은 개살구에 불과했습니다. 영친왕마저 채 10살이 안된 나이에 이복동생인 덕혜옹주와 함께 일본으로 끌려가 그들이 강요하는 일본식 교육을 강제로 받아야만 했습니다. 말이 좋아 조선왕족이지 사실상 볼모 신세나 다름 없었죠.

둘 다 원치 않는 정략 결혼을 하게 됩니다. 물론 이후 이혼하고 정신병원 신세까지 져야 했던 덕혜 옹주에 비해 영친왕 이은 부부는 나름 화목한 삶을 살았습니다. 비록 일본 황태자비 후보로까지 거론되던 마사코 비가 영친왕에게 시집오게 된 것은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체질이 아니라는 판단 하에 조선 왕실의 계보를 끊고자 하는 일제의 모략이 배후였긴 하지만요,,


일제의 꼭두각시지만 그래도 평온한 삶을 살아가던 이들 부부에게 해방은 또다른 시련이었습니다. 자신이 양녕대군의 후손임을 내세워 조선의 프린스라고 칭하고 다녔던 이승만이 대통령이 되었으니까요. 자신의 정통성이 위협 받을 것을 염려한 이승만은 조선 왕실 사람들에게 영구 귀국 금지 조치까지 취하게 되어 이들은 해방 이후에도 꿈에 그리던 조국을 한참이나 밟을 수 없었습니다.

아들 이구는 어쩔 수 없이 미국 유학에 나서 미국에 정착하게 되고 여기서 만난 아내가 바로 8살 연상의 줄리아 멀록입니다. 우크라이나계 미국인이었죠.. 그를 그런 상황에 몰아 넣은 것도 모자라 서양 여자와 결혼했다고 욕하고 이혼을 요구한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고국에 발도 못붙이게 했던 이 땅의 위정자, 기득권 층이었습니다.

불행한 결혼 생활 끝에 이구는 끝내 줄리아와 이혼하고 혼자 쓸쓸히 낯선 일본 땅에서 눈을 감습니다.


조선의 마지막 왕족들이 많이 무능했고, 일제의 도구로 쓰여진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모든 책임을 그들에게 씌우는 것 역시 온당치는 않습니다. 60년대 중반이 되어서야 한국 땅을 밟게 한 것은 그들에겐 너무나 가혹한 처사였습니다.

슬프게 막을 내린 조선의 역사처럼 그들 또한 슬픈 말년을 살았고, 이렇게 소설 속에서나 기억되는 존재가 되어버렸다는 사실이 못내 쓸쓸하기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