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예로 조선을 꿈꾸다 - 정조의 리더십과 무예도보통지
최형국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조는 조선 시대 마지막이라고 할 수 있는 중흥을 이끌어낸 군주입니다. 정조 이후의 조선은 외척의 대두와 뒤쳐진 개혁으로 인해 끝내 시들고 말았죠... 사실 어느 정도는 외적과의 싸움에 있어 기가 막히는 실력을 발휘했던 고려만큼은 아니지만 조선 역시 어느 정도까진 실력 발휘를 했던 나라입니다. 대표적으로 이순신 장군이 있고, 만주에서 싸움에 단련되었던 여진족 역시 꽤나 많은 희생을 치루고 나서야 삼전도의 굴욕을 끌어 낼 수 있었습니다.

왜란, 호란을 모두 치루고 어느 정도 평화의 시대로 자리 잡은 조선에서 정조가 무예를 문예만큼 숭상했고 키워냈다는 사실은 상당히 고무적입니다. 물론 양대 전란에서 호되게 당하기도 했던 경험이 있었기 때문이겠죠..



저자인 최형국은 스스로가 무도인을 자처하는 작가입니다. 냉병기 시대의 종말로 유효성을 상실했다고 알려진 전통 무예를 여전히 수련하고 있는 분입니다.

당연히 정조의 사상, 정책, 리더십 등만을 소개하는데서 더 나아가 세계문화유산에까지 지정된 무예도보통지에 대한 상세한 소개도 함께 하고 있습니다. 관우나 적청 등 중국 고대의 무장 들의 사례까지 가져와 전혀 딱딱하지 않고 재미를 느끼게끔 집필하고 있습니다.


상세한 그림이 남아 있기에 동작 하나하나가 더 잘 이해가 되더군요. 드라마로 제작되어 이미 그 이름이 귀에 익은 무사 백동수 역시 등장합니다. 사실상 무예도보통지 제작의 일등 공신이었죠.. 서자 출신이라 입신에 한계가 있던 그를 역사에 남게 한 이 또한 바로 정조였습니다.

책만 읽는 것이 아니라 무술을 통해 신체를 단련하는 것은 당시 조선의 무관 들에게만 해당하는 과제는 아닙니다.. 누군가를 해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스스로의 건강을 위해, 보다 나은 노년을 위해서라도 이러한 운동(?)은 누구에게나 필요합니다.

정조 역시 무예를 숭상한 주목적은 자주 국가로의 위상을 지켜내기 위함이겠지만 한편으론 이를 통해 모든 백성들이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가지게 하는 것 또한 목표가 아니었을까요. 이러한 부분이 바로 정조의 애민 사상과 닿아 있기 때문입니다.

어찌 보면 정말 생소한 분야를 나름 흥미롭게 읽을 수 있어 즐거운 독서 체험이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