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 전쟁으로 읽는 지정학적 세계사 - 강대국들은 더 좋은 영토를 위해 어떻게 전쟁을 했는가?
다카하시 요이치 지음, 김정환 옮김 / 시그마북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많은 이들의 생명과 재산을 앗아가는 전쟁은 사실 긴 시간이 지나고 나면 상당히 흥미로운 소재로 바뀝니다. 전쟁사나 무기 등을 연구하는 관련 학문이 있는가 하면 속칭 밀덕 들도 양산하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또한 아이러니하게도 침체된 세계 경제를 활성화 시키는 도구가 되기도 합니다.

이 책의 저자인 다카하시 요이치는 일본인입니다. 사실 2차 대전 당시 전범국이었던 나라의 국민이며 더군다나 아베 내각 등에서 브레인 역할을 수행한 인물이기도 합니다. 어느 정도는 자국 중심의 입장에 서서 서술해 나갔을 것이란 예상이 들더군요..

저자는 세계 근현대 전쟁의 기조를 일단 유럽 각국, 러시아, 중국, 미국 등 4개의 축으로 나누어 서술합니다. 유럽과 미국, 제정 러시아 등이 일으켰던 전쟁은 사실 패권주의, 제국주의 전쟁의 성격이 강했다면 소련으로 변한 러시아나 중국 등은 주로 외세의 침입에 맞서는 형태(독소전쟁, 아편전쟁 등)로 이뤄졌던 것이 사실입니다.

실제 소련, 중국이 사회주의 국가의 첨병에 서있어 냉전을 주도할 당시 일으킨 전쟁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중국-베트남 전쟁 등 손에 꼽을 정도였습니다. 2차 대전 이후 일어난 전쟁의 3/4은 미국이 주도했죠.. 러우 전쟁의 경우 러시아가 사회주의 노선을 포기하고 푸틴의 등장 이후 다시 극우화 되면서 벌인 전쟁이라 볼 수 있습니다..

과연 소련과 중국의 전쟁은 악의 전쟁이고, 미국의 전쟁은 선의 전쟁이었을까요? 통일을 외치던 베트남이나 대량살상무기가 없었음에도 당해야 했던 이라크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착한 전쟁이었다고 할 수는 없을 듯 합니다.

그럼에도 1,2차 대전을 겪으며 대량 살상의 시대를 경험했던 인류는 조금씩 전쟁을 멀리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라고 작가는 주장합니다.


그러나 저자는 현재 가장 전쟁 위기가 고조되는 곳으로 중국이 야욕을 앞세우는 동아시아 지역을 꼽고 있습니다.

원래부터 하나의 나라였던 대만을 넘어 알류산 열도, 남중국해 등으로 중국이 진출할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죠.. 역시나 일본인의 입장이기에 미국과 강력한 연대 하에 베트남, 필리핀까지도 포함한 대중국 대항 전선을 살짝 주장하고 있습니다. 한국, 북한은 오히려 크게 대두되진 않고 있네요..


결론이 어쨌든 최근 3세기 내로 발생했던 주요 전쟁을 상세하게 정리해 잘 분석해 놓은 책이었습니다.

읽는 내내 흥미로웠고, 미,중,러,일.. 그리고 북한에 둘러싸인 대한민국의 지정학적 위치를 다시금 되새겨 보는 계기가 되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