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민이 꼭 알아야 할 일제강점기 역사
이영 지음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한민국 국민이 꼭 알아야 할 일제강점기 역사>는 일본에 우리나라를 빼앗겨 강제병합 된 1910년부터 독립이 되어 해방된 1945년도까지의 우리나라 역사와 해방 직후의 뒷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뼈아픈 민족 수난기에 일어난 일본인들의 만행에 너무도 무섭고 가슴 아픈... 그리고 그러한 빼앗긴 조국을 되찾기 위한 독립운동가들의 목숨 바친 노력에 가슴이 먹먹해져 사실 이 책을 빠르게 읽어 나갈 수가 없었다.



이렇게 우리는 나라를 빼앗겼다. 대한제국의 이름은 식민지 조선이 됐고, 대한제국의 항실은 이(李) 왕가로 격하됐다. 통감부는 조선총독부로 이름을 바꾸었다. 일제강점기(1910~1945년) 슬프고 잔혹한 지옥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 p13



우리나라를 지배하기 위해 시작된 무단통치 혹은 헌병경찰 통치 시대의 이야기.

그 시작은 식민 통치 기구인 조선 총독부의 설치로부터 시작된다. 사회적, 경제적 수탈을 위한 조선총독부의 만행들.

그 속에서 벌어진 식민 통치에 항거한 3.1운동,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과 같은 우리나라의 끊임없는 투쟁.

3.1운동의 계기로 국민들의 대한독립을 위한 열망을 꺾기 위한 교활한 문화통치 시대 속 봉오동 전투, 청산리 대첩 등과 같은 독립전쟁 이야기.

조선어 금지와 같은 한글 교육을 금지하는 등 민족말살정책에 맞선 국민들의 마지막 싸움 이야기와 해방 직후의 일본에 남아 있던 재일 조선인의 이야기까지.



저자는 온 국민이 일어나 대한독립만세를 외친 것은 나라를 빼앗긴 상실감과 치명적인 생존권을 위협하는 일제의 반인륜적인 행위였다고 말한다. 인간이라면 어떻게 이런 잔혹한 일들을 벌일 수 있을까? 학창 시절 배워 지금은 나지막히 알고 있던 역사들을 <대한민국 국민이 꼭 알아야 할 일제강점기 역사>에는 세세하고 자세히 다루고 있어 더욱 마음이 무거웠다. 그 시절의 현실과 마주하고 싶지 않은 역사이지만 꼭 꼭 꼭 알아야 할 일제강점기 역사를 책을 통해 배울 수 있었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스스로 일궈낸 독립이 아닌 엽합군에 의해 일제가 패망하고 되찾은 나라, 대한민국.

비록 한반도는 남과 북으로 나뉘고 일본정부는 오히려 원폭과 전쟁의 피해자라고 말하며 우리나라에 제대로 된 사과조차 하지 않지만 우리나라의 독립에는 독립운동가들의 희생이 있지 않았다면 결코 이루지 못했을 것임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래서 더욱 일제강점기 시대의 역사는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잊지 말아야 할 역사이며 되풀이되지 않도록 본보기로 삼아야 할 소중한 기록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를 담은 <대한민국 국민이 꼭 알아야 할 일제강점기 역사> 책을 꼭 읽어보고 애국선열들의 고귀한 희생을 잊지 않고 그분들의 숭고한 정신을 이어 나갈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한국의 독립은 연합군이 일제를 패망시킨 덕에 저절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독립운동가들의 격렬한 저항이 있었기에 얻을 수 있었던 값진 전리품이었다. -p310



미완의 독립운동을 통해 얻어야 하는 중요한 교훈이 있다. 당시의 독립운동가분들 역시 독립운동의 한계를 잘 인지하고 있었다. 한계를 잘 알고 있었지만, 그들은 싸웠다. 언제 독립이 될지도 모르고, 나 하나 희생한다고 독립이 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뻔히 다 아는 상황에서 좌절하거나 낙담하지 않고 불가능한 꿈을 꾸며, 올바르다고 믿는 그 꿈을 실현하기 위해 행동했다. 파급력이 작더라도, 불가능한 꿈을 실현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웠다.

이것이 지금의 우리가 기억하고, 계승하고, 기념해야 할 의미이다. -311





덧. 각 장이 끝날 때마다 나오는 독립운동가들의 어록들을 보면 하나같이 죽음을 각오하고, 아니 각오가 아닌 죽어서 보자는 결의에 찬 내용들로 눈시울을 붉게 만든다.

한 편으로는 이런 독립운동가들의 후손들이 제대로 된 지원을 받지 못해 생활고에 시달리는 기사들을 접할 때면 괜스레 고개가 숙여진다...



출판사로부터 도서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