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1학년 기적의 첫 독서법
오현선 지음 / 체인지업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 1학년 기적의 첫 독서법의 저자이신 오현선 작가님은 23년 차 독서 교사이다. '오현선'이라는 이름보다는 '라온오쌤'으로 유명하신 작가님을 처음 알게 된 건 나 역시 SNS를 통해서였다. 저자의 독서 혹은 글쓰기 관련 글을 볼때면 저절로 고개가 끄덕여지며 독서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어 이번에 나온 초등 1학년 기적의 첫 독서법에도 관심이 가게 되었다.



초등 1학년 기적의 첫 독서법은 사실 초등 1학년뿐만 아니라 학년에 상관없이 읽기가 잘 안 되는 아이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책 놀이를 통해 책에 흥미를 붙이고 스스로 책을 찾아 읽고 이해하는 아이로 만드는 데 목표를 두어 책을 쓰셨다고 한다.



짧게 책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면,


작가님은 독서에 앞서 독서의 시작인 읽기 능력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읽기가 잘 되야 그다음 독서가 이루어지고 독서를 통해 생각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말한다. 보통 8세 전후에 글자, 즉 한글을 배우기 시작하는 초등 1학년이 읽기 교육의 골든타임이라고 말한다. 골든타임을 놓치게 되면 최소 4학년까지 혹은 평생 읽기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한다. 때문에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발달되기 시작하는 초등 1학년부터 읽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PART1의 초등 1학년, 독서 골든타임에 할 일편에서는 책과 공부의 상관관계, 엄마표 독서가 필요한 이유 그리고 그동안 부모님이 아이의 독서에서 궁금했던 고민들 중 몇 가지 질문에 대한 작가님의 생각을 엿 볼 수 있다.



다독, 정독, 그것이 문제로다


독서는 다독보다는 정독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다. 양보다 질이라는 말이 있듯이 많은 양의 책을 읽기 보다는 정독해서 읽어야 온전히 나의 것이 된다는 것에 나도 동의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책에는 다독도 정독도 당위가 아닌 현상이라는 이야기를 한다.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를 논할 문제가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 책 읽는 기쁨을 맛보면 한동안 많이 읽는 현상이 바로 다독이고 재미있는 책을 만났을 때 자기도 모르게 글자, 단어 하나하나 정확히 이해하며 온 정신을 기울여 집중하여 읽게 되면 그것이 정독이 되는 것이다. 때문에 부족한 독서량을 느끼게 되면 스스로 다독을 할 수도 있고 어떤 책은 너무 좋아 꼼꼼히 읽고 싶어 정독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읽기 지도를 위해 가끔 정독과 다독을 권유할 순 있지만 아이가 능동적인 책 읽기를 바란다면 어떤 독서법을 강조하기보다는 우선 스스로 읽을 수 있는 아이로 키워달라고 당부한다.




아이 유형별 독서 가이드편에서는 독서 문제로 고민하는 엄마들을 위한 독서 유형별 상황과 솔루션을 제시해 준다.


책을 너무 빨리 읽어버리는 아이, 학습만화만 파고드는 아이, 지식 책을 고집하는 아이가 바로 우리집 첫째 이야기이다. 그런데 책을 읽다보니 책을 빨리 읽는 속독과 읽고 싶은 부분만 골라 읽는 발췌독은 다르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아이의 책 읽는 모습을 유심히 보면 한 장을 자세히 읽다가 다음 장은 휘리릭 넘기기도 하고 또 어떤 부분은 낄낄대며 읽다가 다시금 빠르게 넘기는 손을 보면서 어쩌면 우리 아인 속독이 아니라 발췌독에 가까운 독서를 하고 있었던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사실 우리 아이는 글을 읽기 시작했을 때부터 엄마한테 책을 읽어 달라는 말을 많이 하지 않았다. 나 또한 손 놓고 아이가 혼자 책을 읽게 내버려 두었는데 이것이 발췌독만 하도록 하는 원인이 된 것 같다. 그동안 아이의 책 읽는 습관에 나도 고민을 하고 있던터라 제시해 준 유형별 솔루션을 참고해서 '조금씩 다른 방법의 독서법도 익힐 수 있도록 독서 습관을 길러줘야겠다' 다짐하기도 했다.




PART2의 책 좋아하는 아이로 만드는 법편에서는 아이를 독서의 세계로 이끌 수 있는 방법에 다시금 읽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청소년들이 책을 읽지 않는 이유에 책을 읽는 또래가 많지 않아서라는 답변이 있다고 하는데 이를 해결할 방법은 사실상 가족이 함께 독서하는 것밖에는 없기에 가정에서 독서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PART3의 우리 아이 독서 습관 잡아주는 365일 책 놀이편에는 엄마랑 아이랑 딱 66일만 함께 책을 읽어보고 어떤 식의 책 놀이와 독후 활동을 할 수 있는지의 실전편 가이드가 소개되어 있다. 그동안 엄마표 독서가 막막했던 부모님들에게는 아주 유용한 자료들이 많이 있기에 부록의 월별 추천 책 리스트에 있는 추천 도서를 참고해서 아이와 함께 독서를 하면서 활용해 보는 것도 아이가 좋은 독서 습관을 기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겠다.



나는 이 책을 덮고 저자처럼 초등 1학년만이 아닌 한글을 배우기 시작하는 아이들, 읽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아이들을 둔 부모님에게 이 책을 추천해 주고 싶다.

빠르면 6~7세, 늦으면 초등 저학년 아이들을 둔 부모들이 어떻게 해야 우리 아이가 독서에 흥미를 가질 수 있을지, 어떤 독서법으로 엄마표 독서를 해야 할지, 아이 스스로 혼자 읽기를 바라지 말고 가정에서 어떤 노력을 해 줘야 할지에 대한 방법이 책에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본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