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 문명
루이스 멈퍼드 지음, 문종만 옮김 / 책세상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저자는 기계가 발전한 것은 그 토대가 되는 사고의 전환이 먼저 있었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한다.

 

중세까지 기계 기술이 발전하기 힘들었던 이유는 물환론적 사고관 때문이었다. 물환론적 사고관 안에서는 생명체 전체의 특성을 주술적으로 되살리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마법, 마술, 주술을 동원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하늘을 날고 싶다는 욕망은 날으는 비행기가 아닌 날으는 양탄자를 만들어내게 된다.

 

유럽이 물활론적 사고에서 벗어나기 시작하면서 사물에서 특정한 기능만을 떼어내서 추상적인 등가물을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해졌다.

 

 

욕망의 반영물인 이 꿈들은 그 욕망 성취의 어려움을 드러낸다. 꿈은 인간 활동에 방향을 제시하고 유기체의 내적 충동과 적절한 목표를 상기시킨다. 하지만 사실보다 지나치게 앞서 나간 꿈은 행동을 방해하는 경향이 있다. 꿈에서 미리 맛본 즐거움은 현실에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사고와 장치, 행동의 대용물 역할을 한다. 하지만 욕망을 이룰 조건이나 욕망을 표현할 수단과는 괴리돈 실체 없는 욕망은 아무 결과도 내지 못한다. 기껏해야 이런 욕망은 내적 만족에 이바지할 뿐이다. 기계적 발명이 가능해지기 전에 요구된 사고의 전환이 얼마나 어려웠는지 15-16세기 마술이 맡았던 역할에서 짐작할 수 있다

멈퍼드의 이러한 통찰은 인류 전체의 역사에서 뿐만 아니라 개인의 역사에도 적용되는 이야기 인 듯 하다. 목표는 원대하나 목표를 이룰만한 현실적인 능력을 키우지 못했을 때 잘 못 하면 사기꾼이 되기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2의 기계 시대 - 인간과 기계의 공생이 시작된다
에릭 브린욜프슨 & 앤드루 맥아피 지음, 이한음 옮김 / 청림출판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계의 발전이 생산 방식과 경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잘 설명해 주는 책으로 4차 산업혁명이 궁금하다면 꼭 읽어봐야 하는 책이다. 새로운 생산 방식과 경제 구조는 빈부 격차를 이전과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확대하게 될 것이라고 이야기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윈 & 페일리 : 진화론도 진화한다 지식인마을 1
장대익 지음 / 김영사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껍지 않은 이 책을 통해서 그리고 저자의 강의를 통해서 진화론에 대한 개념이 정리됐다. 진화론은 매우 간단한 듯 보여 다들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진화론에 대해 제대로 모르는 사람들이 더 많다고 한다.

 

개인적으로는 라마르크의 용불용설과 진화론의 차이가 들어도 잘 알기 힘들었다. 저자는 산업혁명 시기 검은색 나방을 예로 들어 쉽게 그 차이를 설명해준다. 흰나방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점점 검은색으로 변해갔다고 설명하는 것이 용불용설이고 검은 색 나방이 흰나방 보다 환경에 더 잘 적응하는 개체(자연선택설) 였기에  검은 나방들이 더 많아졌다가 진화론이다.

(읽은 지 시간이 좀 지나, 책의 내용이었는지 저자의 강의 내용이었는지는 잘 기억나지 않는다.)

아무튼 저자는 진화론의 개념들을 매우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아직도 지적 설계론을 믿는 사람들이 많으며 미국에서는 지적 설계론도 진화론과 함께 교과 과정에서 가르쳐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고 한다. 지적 설계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근거로 드는 것은 이렇게 완벽하게 기능하는 생명체가 설계 없이 "눈먼 시계공"(자연)에 의해  만들어질 수는 없다고 하는 것이다. 진화론의 답은 시간이다.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오랜 시간이 지금의 우리를 만들어냈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
장하석 지음 / 지식플러스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하석 교수의 강의를 그대로 엮어 놓은 책이다. 과학이 무엇인가? 과학이 대체 무엇인데 우리는 과학적 사실에 큰 권위를 부여하게 되는가로 시작된다. 과학의 권위는 과학 방법에서 나온다. 과학 방법 -  그 방법을 따라가면 어떤 사람도 같은 결과를 낼 수 있는 보편성을 준다. 둘째로 과학의 권위는 반증 가능성에 있다. 종교나 신념은 바뀌어서는 안되지만 과학은 새로운 것을 배워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기존의 이론이 틀렸다고 증명되면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이면서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려고 한다.

 

이 책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과학이 진리나 진실에 다가가고 있는가? 질문이다.

과학이 진리에 다가가고 있다고 하는 실재론자들과 과학의 목표가 진리를 얻는 것이 아니라 유용한 지식을 얻는 것이다라고 하는 반실재론자들의 논쟁을 들려준다 .

 

반실재론자들의 주장은 과학은 진리를 밝혀낼 수도 없으며, 과학이 나아가고 있는 방향이 진리를 향해 가는 것인지 아닌지 조차도 - 진보하고 있는 것인지 퇴보하고 있는 것인지 - 가늠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이다.

 

과학이 발전할 수록 당연히 진리에 가까워진다고 생각했었는데 충격적이었다.  

 

 

과학적 일원주의를 설명하기 장하석 교수는 초등학생 글짓기와 관련된 우스개 소리를 소개한다.

 

어느 초등학교 글짓기 대회에서 주제가 우리집 강아지였습니다.

한 초등학생에게

선생님은 "너 글 써낸게 너희 누나 거랑 한 글자도 안 다르고 똑같애, 베꼈지"

초등학생 " 아니요오, 같은 개에요."

 

장하석 교수는 어떤 현상을 놓고 한 가지 답만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과학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대신 과학적 다원주의를 제안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
장하석 지음 / 지식플러스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은 진실이나 진리와는 다르다. 과학의 힘은 반증가능성으로부터 나온다. 그래서 종교와는 다르다. ˝불교는 과학이다.˝라고 하는 불교정신치료자의 유튜브 강의 때문에 읽은 책. 그는 이렇게도 말한다. ˝불교는 진리˝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