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수아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배수아의 소설적 세계에서 기형도의 시 세계가 보인다면 그건 착각에 불가할까? 우울하고 아스팔트의 빛을 머금어 회색빛을 품은 안개. 표정을 감춘 채 거리를 쏘다니는 사람들. 겨울 바람, 오래되고 버려지는 아파트. 이러한 이미지는 배수아의 이번 소설집 <>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이미지다. 마치 1980년대 동구권이 붕괴하기 이전의 풍경을 엿보는 것 같기도 하다. 실제로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섰던 러시아, 중앙아시아의 구소련권에 속하는 국가들. 북유럽의 풍경을 상상하게 하는 세계를, 배수아는 그리고 있다.

 

소설집의 표제작 <>은 세 사람의 훌이 등장한다. 우선 주인공 의 절친한 친구 훌, 사람이 많은 곳에 다니기를 싫어하고 악수하거나 포옹하는 것을 싫어하는 훌은 주인공과 방에서 뒹굴거리며 텔레비전을 보는 것을 좋아한다. 반대로 같은 이름을 가진 동류 훌은 인형극에서 인생의 의미를 발견하고 진지하게 자아실현을 추구하는 존재다. 좀더 진보적인 정치 구호에 관심이 많은 동료 훌은 를 친근하게 대하지만 는 그를 귀찮아 하기만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 나의 이름이 다른 둘과 마찬가지로 이라는 사실은 가장 마지막 순간에 밝혀진다. 그럼으로써 단순하게 현대 도시인의 우울을 다룬 게 아닌가 싶은 소설의 서사는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된다.

 

소설의 초입에서 는 자신의 집에 있는 텔레비전에서 <보리스 고두로프>라는 오페라가 방영되고 있는 걸 발견한다. 오페라 따위에는 아무 관심도 없고 오히려 <미인에게 청혼하다>라는 연속극에나 관심이 있던 나는 그런 오페라의 방영이 짜증만 난다. 그러다가 시간에 상관없이 오페라가 방영되는 것이 결국엔 집의 텔레비전이 고장 났기 때문에 그랬다는 것을 깨닫고 새 텔레비전을 구하려고 수소문을 시작한다. 이 소설의 줄거리는 가 텔레비전을 구하려고 하는 과정을 그렸다고 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친구 훌은 몸이 좋지 않은지 연락이 자꾸 안 된다. 그 사이로 앞에서 말했듯이 진지한 취향을 가진 동료 훌이 자꾸만 의 앞에 나타나 참견을 이어나가는 것이다. 나는 그가 짜증 나지만 그렇다고 그를 뿌리치지는 않는다.

 

나는 이러한 서사의 진행 속에서 분리된 개인의 자아의 역할을 바라본다. ‘라는 훌을 가운데 두고, ‘안 진지한 훌’ (친구). ‘진지한 훌’ (동료)로 나뉘어지는 것이다. 텔레비전이 고장 난다는 사건은 언뜻 보면 별 의미를 가지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텔레비전이 고장나면서 는 자꾸 동료 훌과 엮기 게 된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너는 주말에 텔레비전이 고장나서 어떡하니 여기 내가 하는 인형극이 있어 어서오렴.’ 나는 그 말을 들어는 주지만 갈 생각은 하지 않는다. 그러나 약국에 가면서 인형극이 열리는 근처까지는 가게 된다. 이런식이다.

 

는 중간지대에 서 있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처음 텔레비전이 등장한 이후, 1984나 멋진 신세계 같은 SF소설은 텔레비전을 하나의 통제 수단으로 여겨왔다. ‘바보상자라는 오명도 이러한 인식에서 비롯된 것일 것이다. 배수아의 소설 <>은 텔레비전이 고장 난다는 사건을 시작으로 를 강하게 지배해온 일상의 관성이 서서히 힘을 잃게 되는 것이다. 이 소설은 그런 관성이 힘을 잃게 되는 과정을 그린 소설이라고 볼 수 있다. ‘는 짜증나지만, 자신과 다른 인물들(동료 훌, 몽고 여자)과 관계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친구 홀은 계속해서 연락이 되지 않는다. 이런 접촉은 에게 과도한 피로감을 주지만 과연 는 거기에서 벗어나려고 어떤 노력을 하는가. 텔레비전을 구하는 과정은 터무니없는 가격을 제시함으로써 번번이 좌절시키고 다가오는 사람들을 강하게 내치지는 않는다. 물론 소설의 결말은 가 동료 훌과 함께 권투 경기를 보러 가려고 하다가 그를 떠나는 것으로 끝이 난다. 결국엔 자신이 안온하다고 느껴왔던 일상의 관성을 되찾으러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