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란 무엇인가 - 청소년, 청년, 시민을 위한 민주주의 교양 입문 민주시민 권리장전 1
제임스 렉서 지음, 김영희 옮김 / 행성B(행성비)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민주주의 [民主主義, democracy] 

국가의 주권이 국민에게 있고 국민을 위하여 정치를 행하는 제도, 또는 그러한 정치를 지향하는 사상

 



 

 

 

 

 

 

 

 

 

 

 

 

내가 살아가고 있는 세계가 어떤 곳인지에 대해 생각할 때가 있다.

내가 살아가는 곳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시간 동안 들어온 바에 의하면 '민주주의 국가'라고 하였다.

그런데 문득 내가 살아가고 있는 그 '민주주의 국가'란 것이 무엇인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른들이 혀를 차며 너희가 가진 권리와 의무가 그리 가벼운 것이 아니라 했을 때,

그것이 얼마나 숱한 투쟁과 쟁취를 통해 얻어진 것인지 알아야 한다 했을 때,

그런 말을 잔소리라 여기며 흘려 듣기 일수였다.

 

조금 더 나이가 들어 스스로 '사고'라는 것을 하게 되어 접한 민주주의란 것은...

그런 어른들의 잔소리가 단순한 잔소리가 아니란 생각이 들었다.

 

가깝게는 우리가 행사하는 투표권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되었다.

단순히 하루 쉬는 날로 생각하며 무심히 버려버리는 그 한표!

그냥 적어도 나는 참여는 했다는 생각에 사다리 타기 하듯 아무나 한표 찍고 나오던 그 한표!

 

그 하나하나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주어지게 된 것인지에 대해 생각하게 되니....

그런 내 모습이 문득 많이 부끄러워졌다.

 



 





잘 쓰여진 책은 그 목차를 보면 알 수 있다고 하던가?

목차만으로도 책의 흐름을 대강 짐작할 수 있도록 씌여진 이 책은 '민주주의'에 대해 처음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개괄적인 흐름에 맞추어 민주주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을 해볼 수 있는 기본 화두를 던져주는 책이었다.

물론 이 책을 한권 읽는다고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확정적으로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책 한권을 읽는 것으로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확실히 이해하고 이를 자발적으로 생각해 내기에는.. 나의 무식이 너무 깊은 것일지도 모르지만...;;

무엇인가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단 한권으로 끝낼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이 책을 통해 흔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를 민주사회라 일컫는데, 그것이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대략적인 큰 그림을 그릴 수 있었다.

또한 민주주의 사회라는 곳에서의 내가 어느 역할에 놓여져 있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주었다.

 

이 책에서도 말하다시피 민주주의는 단순한 하나의 이념임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유기체적인 성격을 띈다.

지금도 발전하고 변화하고 있는 그러한 민주주의의 체계가 앞으로 어떻게 변화해 갈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앞으로는 단순히 흘러가는 것을 조금이나마 벗어나 내가 어떠한 흐름으로 나아가고 있는지에 대해 보는 눈을 길러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 그리고 이 책은 마인드맵핑을 이용해 정리하며 읽기 좋은 책인 것 같은데...

이런 식으로 ↓↓↓ 내용을 정리하면서 읽는다면 음... 사회과목 성적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을 잠시 해보았다~^^v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