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록 - 임진왜란에 관한 뼈아픈 반성의 기록 클래식 아고라 1
류성룡 지음, 장준호 옮김 / arte(아르테)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2년 여름 개봉한 [한산]을 영화관에서 전율하면서 봤다. 지병이 있어 큰 흥분은 몸에 좋지않은데, 좋은 소재와 엄청난 액션으로 인한 흥분을 막을 수가 없었다. 요새 첫째 아들도 이순신에 관심이 많고 전쟁 놀이를 하면서 "발포하라!"를 외치고 있어서 영화를 보여줘야하나 고심을 하고 있는데, 다들 초딩 1학년 아이에게도 보여주는 분위기이다. 생각해보면 전반부의 끔찍한 한 컷을 제외하면 크게 제한 할 필요는 없어보인다. 이미 더 잔인한 명랑도 할아버지가 보여주셨으니...

이순신 장군님은 난중일기를 쓰셨다. 나는 읽어본 바 없으나, 드라마나 영화에서 자주 인용되서 익숙한 느낌이 있었다. 그런데 이순신 장군님을 천거하신 유성룡 정승님의 징비록은 너무나 어려울 것만 같았다. 그래도 영화의 여운이 있어 임진왜란을 더 자세하게 알고 싶다는 마음으로 [징비록] 읽기를 시작했고 생각보다 어려움없고 흥미로운 사실을 아는 기쁨으로 하루 동안 술술 읽어버렸다. 영화와는 다른 느낌으로 임진왜란 당시의 큰 그림을 볼 수있었다. 알았던 내용도 있지만 몰랐던 많은 역사적 사실로 인해 글보다는 말로 가족과 이야기하는 시간도 가져봤다.

나는 정사와 야사 모두에 관심이 많고 들은 내용들이 있었다. [징비록]은 우리나라보다 일본에서 더 많이 읽고, 연구했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있었다. 지금도 그렇다.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다. 국어 교과서에 정철의 "관동별곡"이나 실을것이 아니라 [징비록]을 실었어야 했다. 명의 속국임을 인정하고, 한 없이 무능한 조선의 위정자들의 민낯을 들여다볼 수 있는 [징비록]을 하나하나 뜯어보는 일이 국어와 역사의 진짜 공부이다. 역사를 한 줄로 요약하는 공부에서 벗어나 제대로된 처세술을 배워야 한다. 지금도 한국은 정쟁만을 하는 중에 미국만 믿고있다. 외교를 무시한 결과로 대미 무역경쟁에서 일본에게 지고있는데 여전히 집안 총질 중이다.

무능한 선조와, 당쟁에 목숨거는 정치인, 백성에게나 위세를 떠는 장군들 사이에서 고군분투하는 유성룡의 모습을 보면서 현실 판단이 되는 전쟁 재상의 모습에 위안을 받기도 한다. 전쟁 후에도 당쟁으로인해 낙향하게되는 유성룡이 얼마나 처세술에 뛰어난 지를 알게된다. 거만한 명나라 장군들과 일본군 사이에서 군량을 조달하고, 전쟁을 독촉하면서 당파가 무슨 소용이 있었겠는가? 전쟁 막바지에 일본과 협상하려했다는 오명이 붙었고, 처세를 잘못한다거나, 재상의 자질이 없다는 똥묻은 개들의 주장들에 혀를 차게된다.

불행히 경상도 수륙 장수들은 모두 겁쟁이었다. 해상에 있어서 경상좌수사 박홍은 한 사람의 군사도 내보내지 않았다. 경상우수사 원균은 비록 수로가 조금 멀었다고 하더라도 거느리고 있던 전선도 많았고, 적병이 하루에 침입한 것도 아니었음에도 출정하지 않았다. 전 군을 거느리고 전진하여 군사의 위세를 보였더라면 상대하여 운좋게 한 번만이라도 이겼더라면, 일본군은 마땅히 뒤를 걱정하여 빠르고 깊게 쳐들어오지는 못했을 것이다. 우리 군사들은 적이 오는 것만 봐도 멀리 피하여 한 번도 일본군과 싸워보지도 못했다.

제4장 충주의 패전과 파천 논의 47쪽

장준호 교수님의 번역과 해설을 따라가면 유성룡 정승님의 고향, 개인사, 평가, 시, 일본에 미친 영향, 퇴계 이황 학파 인물 관계, 성, 무기, 세계 속에서 가치를 인정받기위한 노력에 대해 알 수 있다.

내 아이의 역사 공부는 시험을 보기위한 역사 한 줄이 아니었으면 좋겠다. 당연하게 숭배하고 받들기위한 역사 공부가 아니라 후세인들에 의해 정당한 평가를 받게해야 한다. 왜 그동안 우리의 역사 공부와 미담에서 유성룡과 이순신이 아니라 한음과 오성일까, 왜 유성룡의 진관법이 아니라 이이의 십만양병설이어야 했을까, 왜 이순신 장군이나 김구 선생님의 어머님이 아니라 신사임당이어야 했을까, 왜 이렇게 좋은 역사적 사료들을 활용한 교육을 못하고 수박 겉핥기 식일까 탄식이 나올 뿐이다.

염소를 잃었으니 우리를 보수하고

말을 잃었으니 마구를 고칠지로다

지난 것은 비록 그만이지만

오는 일은 그래도 해갈 수 있도다

누가 능히 이런 뜻을 진술하여

하나하나 임금께 들려주리오

-'누가 능히 이런 뜻을 진술하여 하나하나 임금께 들려주리오'라고 하면서 시를 마치고 있다. 이것은 임진왜란의 사적을 남겨 임금에게 받은 충정을 보답한다라고 하는 [징비록]의 저술 의도와도 그 궤를 같이 한다고 생각한다.

264쪽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