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과 소비에트 변방 기행 - 조지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여행자의 시선 2
임영호 지음 / 컬처룩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지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트빌리시 #므츠헤타 #카즈베기 #고리 #키이우 #오데사 #르비우 #브레스트 #민스크

2월 24일 발발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이 여름까지 계속되고 있다. 소식을 들었을 때는 금방 끝날 거라고 생각했는데 도시 전체가 파괴되고 사람들은 지하 벙커에서 살아야 되는 참상에 전쟁의 참혹함을 깨닫게 된다. 전쟁이 끝나게 된다 해도 일상의 생활을 지속할 수 없겠지. 코로나19로 인한 비상사태에 더해 세계가 전쟁에 휩싸일 가능성도 생각하게 된다. 또한 코로나 감염이 다시 확산돼서 이동이 제한되는 느낌을 받는 내게는 전쟁으로 갇혀 살아야 하는 우크라이나 사람들의 상황이 더 슬프게 느껴진다.

아이가 어릴수록 같이 여행 다니는 것이 힘들었지만 요새 들어 비행기가 나오면 첫째는 기억을 살려 좋았다고 이야기해준다. 이제는 여행하기 좋은 나이가 됐는데... 다른 나라를 많이 가보지 못했지만 이번 전쟁으로 인해 갈 수 없는 곳이 생겼다. 러시아와 주변국들이다. 아쉬운 마음에 옛날의 주변국들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유럽과 소비에트 변방 기행]을 찾아 읽어봤다.

조지아는 소박하지만 역사적으로 유서 깊은 정교회 성당과 유적들이 있다. 또한 와인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커피 이름으로도 유명한 듯한데 서유럽의 시작 지역이지만 변방국이 되어 버린 나라이며 위치적으로 중요한 나라라서 여러 나라에 의해 통치돼서 여러 문화가 들어와 독특한 문화가 형성돼있다. 책에서는 2014년에 조지아와 우크라이나를 방문한 듯한데 모두 러시아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특히 조지아는 우리나라처럼 고유한 문자가 있어서 많은 부분에서 우리나라와 비슷한 정서를 가진듯하다. 우크라이나는 사진만 봐도 건물들이 정말로 아름다웠다. 러시아의 궁전들도 색색이 아름다워 사진만 봐도 동화 나라 같은데 우크라이나의 성당들은 황금색 지붕과 하늘색 벽, 짙은 코발트색 건물들을 보고 있으면 요정의 나라 같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은 대부분 파괴됐을 민족의 자존심 가득한 건축물들에 안타까움이 느껴진다. 우리나라의 기업들이 건축을 잘 한다고 생각했었는데 우크라이나, 조지아, 벨라루스의 성당과 일반 건물들에서 느껴지는 웅장함과 아름다움을 보니 내 생각이 잘 못됐다는 것을 알게 됐다. 현대적인 건물조차도 벨라루스의 국립 도서관의 미래적인 규모를 보고 나니 우물 안의 개구리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아직 유럽 여행을 해보지 않아서 잘 모르지만 조지아와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건축물들이 유럽의 어느 나라와 비교해서도 지지 않겠다고 생각한다.

이런 나라는 아무런 준비 없이 떠났다간 얻은 것 없이 돌아오기 쉽다.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이야기는 조지아 여행에 정확하게 들어맞는다.

20쪽

[유럽과 소비에트 변방 기행]이 단순히 풍경의 아름다움을 알리는 기행이 아니라, 역사와 생활, 문화를 모두 탐구하고 글과 사진으로 나라의 분위기까지 전달하려는 노력이 들어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내게는 낯선 나라들이고, 경제적으로 풍족하지 않고, 정치적으로, 국가적으로 어려움들이 많지만 민족적 자존심을 갖고 살아가는 것을 알게 됐고, 읽는 내내 조지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국민들 모두를 응원하게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