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장 75일 집중 완성 교과연산 P2 - 9까지의 덧셈과 뺄셈 하루 한 장 75일 집중 완성 교과연산
히어로수학연구소 지음 / 히어로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집 첫째 공룡은 집중력이 아주 좋다. 그리고 아주 꾸준하다. 영상을 제한하고 있어서인지 애들이 좋아하는 유행에서 벗어나 있고 자연이 통통 책에 나왔던 공룡을 시작으로 6살이 된 지금까지 오로지 공룡 주행 중 이다. 어린이집을 5살때 보냈기 때문에 책도 많이 읽어 준 편이다. 그래서 6살이 되자 마음이 급해져서 이름쓰기랑 한글 읽기를 시작하려고 책도 사고 포스터도 사고 여러 학습지도 사보았다. 그리고 숫자도 가르쳐 보고 교구도 관심이 있어 엄청난 서치 끝에 플레이 팩토 2단계와 3단계를 들였다. 결론은 아주 부질없다는 것이다. 이름쓰기 가르치려다 애 잡을 뻔하고 관계 틀어질 뻔 해서 과감히 포기했다. 애를 울리진 않았지만 아이의 자존감은 충분히 낮추게 될만큼 앞에서 한숨과 끓어오르는 분노를 삭이지 못했다. 그럴때는 그냥 포기하는 것이 답이리라. 그렇지만 난 욕심많은 엄마였는지 플레이 팩토는 할 만했다. 하루에 책 두권과 교구 하나를 마스터하며 자심감도 붙었다. 그래서 숫자도 읽고 시계에 써진 글자에도 친숙해져가고 있어서 생활 속에서 연산도 좀 가르쳐 보고 있다.

그래서 하루 한 장 75일 집중 완성 교과연산 P세트를 나 먼저 한번 해볼까? 하는 느긋한 생각으로 접해보았다. 그리고 시켜도 보았다. 허걱~ 너무너무 입이 아프다. 아직은 평범한 첫째 공룡이랑 엄청나게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계기가 됐다는 점은 아주 좋았지만 아직은 이해력이 떨어진다. 좀더 기본에 충실하라는 신호로 받아들이기로 했다. P세트는 7살 부터 시작하라고 되있다. 그래서 엄마가 연산에 대해 그냥 공부하기로 하고 살펴봤다. 또 한글공부 꼴나면 안될것 같기도 하고...

P0는 숫자와 익숙한 그림을 매치하는 과정이다. 첫째 공룡은 손까락을 써서 숫자도 세고 자석 교구도 잘 이용할 수 있다. 아직은 숫자보다는 그림에 익숙한 아이들을 위해 색감도 예쁘고 생활 속에서 익숙한 물건들을 셀 수 있게 한다. 첫째 공룡이 처음 한장을 흥미진진 게임 바라보듯 풀고 집중한 시간은 10여분 남짓... 그리고 바로 책에다 그림그리기한다. 종이 질도 좋고 놀이하는 책인줄 아는 듯.

P1은 덧셈과 뺄셈하기 전 숫자를 쪼개보고 합쳐보는 과정이다. 부호에 익숙하지않은 아이들을 위한 과정인것 같다. 덧셈과 뺄셈이랑 별 차이없어 보이는데, 단계를 확실히 밟고 넘어가는 것이 낫겠지. 첫째 공룡이랑 평소에도 숫자를 가지고 노는것이 좋겠다. 탄탄한 기초훈련은 생활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닐까? 아이 공부 시키려고 시간내는 것도 굉장히 힘들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코로나로 시간은 무한정 많은듯 한데 어째 내가 애들에게 10분 집중하는 것이 이렇게 어려울까? 반성하자.

P2는 드디어 더하기, 빼기 부호가 줄기차게 본격적으로 이용되는 단계. 어른들에게는 너무 쉬울듯 한데 사실 추리력도 필요하다. 막판 하일라이트 숫자 세개로 문제를 만들어보라고 한다. 숫자 세개에 빈 칸 세개 그리고 문제를 두개나 만들어야 한다. 허걱... 내 생각엔 막판은 쟁여뒀다가 8살때 하는 걸로 하자.

P3 덧셈과 뺄셈의 심화 단계이다. 2학년때 구구단이 나오니까 1학년때는 덧셈, 뺄셈을 확실하게 마스터 하는 것이 목표인듯하다.

하루 한 장 75일 집중 완성 교과연산 P세트를 보기 전까지 연산에 대해 별로 관심이 없었는데 첫째 공룡하고 생활 속에서 열심히 연산을 해보는 연습을 해야 나중에 당황하지 않겠다고 생각하게 됐다. 너무 오래되서 구구단을 언제 외웠는지 기억도 안나는데 아이 입장에서 즐겁게 수학을 접할 수 있게 해주고 싶다. 난 초등학교때부터 수학으로 인한 흑역사가 있으니까 말이다. 첫째 공룡아 힘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