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리드 홀레이더르, 김지원 역, 다산책방, 2019년, e-pub

sns에서 본 글. 어떤 가정폭력 피해자의 경험담. 대로변에서 맞는데도, 지나가는 사람 하나도 도와주지 않았다고 한다. 이 여자가 얼마나 나쁜지, 어떤 맞을짓을 했는지 확인 할 수 없는 가해자 남편의 말들에 주변 사람들은 동조했고, 방치했다. 맞아서 아픈 것보다, 주위를 둘러싼 그 사람들이 내뿜는 공기 - 맞을짓을 한 여자-가 자신을 더 고통스럽게 했다고, 아마 그런 말을 했던 것 같다. 어느 날에는 그렇게 맞는데, 왠 20대 여자가 남편을 막아서더란다. 대단히 용기있는, 남자 하나 쯤 맞서 싸워서 이길만한 여자가 아니었다. 휴대폰을 들고는 경찰서에 신고하겠다며 울기 직전의 목소리로 소리치던 호기에, 남편은 욕을 하고는 물러섰다고 했다. 그렇게 남편이 가고 난 뒤에 다리에 힘이 풀려 주저앉던 그 여자가 잊혀지지 않는다고. 그렇게 살아갈 힘을 얻었다고 했다.

그렇게 겁을 내면서도 어떻게든 버텨내는 여자들이 나오는, 놀랍게도 논픽션이다. 가정폭력의 가해자였던 아버지를 그대로 빼닮은 오빠는 폭력의 선을 넘어 납치와 살인까지 저지른다. 오빠는 증거를 남기지 않을만큼 똑똑한 사람이고 혼자힘으로 변호사까지 된 주인공은 그런 오빠에게는 놓칠 수 없는 중요한 도구이고, 주인공은 그런 오빠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 오빠는 자신을 죽일수도 있는 사람이니까.

그러나 자신 뿐만 아니라 딸과 손녀까지 위험해진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약간의 애정도 있었을, 사회적 안전망이 부재한 상태에서 유일한 울타리였을 가정에 함께 묶인 오빠와의 삶속에서 그를 고발하는 주인공을 보며, 그 20대여자를 떠올렸다. 겁이나고 무섭고, 눈물도 나고 다리도 떨리지만 그래도 멈출 수는 없는 일. 내 옆에 있는 사람-여기서는 더 절실했을, 내 혈육들-의 생명을 짊어지고 덜덜 떨며 전진해나가는 삶이 그대로 쏟아져 나온다. 저자와, 어머니와, 언니, 그리고 오빠의 전 애인. 그들은 살기위해서, 자신의 혈육을 지키기 위해서 목숨을 걸고 나선다. 그 약자들의 연대가 너무나 드라마틱해서 (다른 오빠 한 명은 위험을 감수할 수 없다며 참여하지 않았다) 잠시 논픽션인걸 잊을 정도였다.

녹취록은 제출되었고, 처음의 계획과는 달리 재판에서 증언까지 한 저자의 삶은 결국 한 구석이 부서졌다. 그는 보복 살인의 위협에 시달리고 끊임없이 주변을 경계하며, 온 힘을 다해 살아가고 있다. 한 번도 본 적 없지만, 그의 삶이 평화롭게 이어지기를, 간절하게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