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가장 가까운 적, 성병
엘렌 스퇴켄 달 지음, 이문영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르웨이의 성병학과 의사인 엘렌 스퇴겐 달은 성병을 자신의 잘못이라고 여기지 말고 질병 자체로 보라고 말한다. 그것은 단지 운의 문제임을, 질병이므로 고칠 수 있고, 예방도 가능하다고 말한다.


전 세계적으로 성병이 증가하고 있는 지금 성병에 대해 제대로 알고 대처해야 할 때이다. 성병에 대해 꼭 알아야 할 기초 지식을 진료실 안의 모습으로 구성해 궁금증을 해소시킨다.

매독, 임질, 헤르페스, 클라미디아, 생식기 사마귀, 질편모충염, 사면발니, HPV 관련 자궁 경부암, 미코플라스마, 옴, HIV와 AIDS 등 11가지 성병을 다루며 성병의 역사 또한 담아서 그 이해도를 높였다.


”내가 헤르페스에 걸릴 리가 없어요.”

“이 병은 헤르페스에요. 역겨운 병이죠. 이걸 사람들에게 전할 수는 없어요.”


성병을 향한 손가락질은 수치심을 일으켰고 그로 인해 드러내고 아파할 수 없었다. 왜, 그렇게 되었는지 저자는 다양한 각도의 시선으로 파고든다. 우리 사회의 성에 대한 인식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시간이기도 하다.


“나의 목표는 사람들이 분비물과 물집을 좋아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이러한 질병에 대해 약간 덜 극단적인 시각을 갖게 하는 것이다.”


누군가 관절염이나 폐렴이 걸렸다면 우리는 위로의 말을 건네는데, 성병이 걸렸다고 하면 어떤 반응을 하는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성병이 걸렸다고 말하는 사람을 만나본 적이 없다. 이것이 지금 우리가 성병을 대하는 태도의 현주소가 아닐까. 성병 걸린 것을 숨기고 수치스러워할 것이 아니라 질병 그 자체로 보고 서로 병에 대해 공론 할 수 있는 장이 필요하다. 그래야지만 성병학과가 있는 노르웨이처럼 우리도 전문적인 의료 시스템이 가능해지지 않을까하는 질문에 가 닿았다. 돈이 되는 과에만 사람이 몰려서 비 인기 학과는 미달로 의료인이 부족한 지금 정부의 의료 정책이 시급하다.


*일반인을 위한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을 다룬 책처럼 성병을 다룬 책이 없어서 아쉬웠는데 흥미롭게 읽었다. 역시 배움은 즐거운 것.


#띵북서평단 으로 성병에 대한 지식의 확장을 경험했습니다!

@thing_book @openbooks21


덧, 노르웨이의 클라미디아처럼 우리나라 성병의 현주소도 궁금해졌다. 우리나라 성병 책도 출간되길.


섹스는 위험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사랑스러운 경험 중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삶에는 질병을 피하려는 투쟁보다 더 많은 것이 있다. p.236


#성병가이드 #질의응답 #서평단 #책 #책추천 #hongeunkyeo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