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돼지 복지 - 공장식 축산을 넘어, 한국식 동물복지 농장의 모든 것
윤진현 지음 / 한겨레출판 / 2024년 6월
평점 :
고기를 좋아하지는 않지만 가끔 먹는다. 4식구 중 2명은 아주 고기를 좋아한다. 그런데 마트에 가서 동물복지인증 된 고기를 골라서 사본 적이 없다. 동물의 복지에 대해서는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자주 사고 먹는 고기에 대해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우연히 실습한 돼지농장에서 시작된 저자의 돼지 복지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핀란드까지 유학을 가게 만든다. 그곳의 동물복지를 직접 경험하고 동물복지의 개념부터 어떤 연구를 하는지, 실제로 동물복지가 이뤄지려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말한다.
인상 깊었던 부분은 ’돼지 꼬리 자르기‘이다. 호기심이 많은 돼지들이 단조로운 환경에서 지내다 보니 꼬리 물기를 하게 되는데 놀잇감을 주어 익숙하게 했더니 꼬리 물기나 귀를 가지고 놀거나 무는 행동을 덜 하게 된다고 한다. 관행적으로 꼬리를 자르지 않아도 꼬리 물림 사고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꼬리 물림 현상은 돼지가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는 신호이다. 핀란드 양돈장에서는 꼬리 물림 사고가 발생하면 사육 환경과 관리에 문제가 있었는지 점검하고 개선하고자 노력을 기울인다고 한다.
꼬리 물기 현상과 돼지의 건강과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결과가 많았다. 돼지의 체내 면역 반응은 사이토카인(혈액에 함유된 면역 단백의 하나)과 신경 전달에 의해 조절되는데, 이것이 손상되면 돼지처럼 사회적인 동물들은 공격적인 행동이 증가한다. 이때 꼬리 물기 현상으로 인한 피해가 커질 수 있다.
꼬리 물기 현상에는 광범위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데 적정 사육공간, 행동 풍부화 기화, 적절한 환기, 신선한 사료와 음수, 충분한 깔짚 등을 육성, 비육사에 제공한다면 꼬리 물기 피해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결국, 건강한 돼지가 되어야 한다는 것!
값싸고 위생적인 축산물을 원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공장식 축산은 불가피한데 인간이 소비하는 동물이 생전에 어디에서 어떻게 자라나는지 우리는 당연히 알고 더 깊게 눈여겨봐야 하지 않을까.
’식육용으로 사육되는 가축들이 본성을 발휘하며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 나아가 소비자가 먹거리를 구입할 때 어떤 것이 좋고 나쁜지, 무엇이 옳고 그른지 판단해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동물복지 ‘(p.41) 를 알게 되어 소비자로서 판단하는 기준을 세울 수 있게 되었다. 인간의 생명을 위해 소비되는 모든 것들에 부여되는 억지스러움이 이제는 제발 가라앉기를. 그러려면 소비하는 주체부터 변해야 함을 느낀다. 싸고 좋은 것은 없다. 자본주의 시장에서 제값을 주고 제대로 된 것을 먹게 되길 더욱 바라게 된다. ’왜 돼지가 행복해야 할까‘ 라는 질문의 답이 이 책 안에 있다.
@hanibook 한겨레출판사의 하니포터8기로 도서를 지원받았습니다.
#돼지복지 #윤진현 #한겨레출판사 #하니포터 #하티포터8기 #사회과학 #환경문제 #동물 #책 #책친구 #hongeunky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