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사가 날 대신해 소설, 잇다 5
김명순.박민정 지음 / 작가정신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외로운 사람들>

최씨가문의 네 남매의 이야기로 정혼자가 있는 사회주의자 정택과 사랑의 도피를 했다가 그곳에서 또 다른 사람을 좋아하게 되어 돌아온 순희, 어릴 적 할머니의 뜻으로 조혼하였으나 청국의 왕녀인 순영에게 마음이 가는 순철의 이야기가 주로 그려진다. 사랑 때문에 괴로워하고 고통받는 이들의 모습이다.

 

김명순의 소설 <외로운 사람들>은 독일의 극작가 하우푸트만의 희곡<외로운 사람들>에 형상화된 불행한 결혼으로 야기된 비극적이고 절망적인 가정생활로 고통받는 인간 내면의 심리적 갈등을 문화번역했다고 한다. 조혼제도가 가져오는 결혼의 문제가 남녀 모두에게 고통을 안겨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외로운 사람들>에서 순철이 내뱉는 -조혼의 페여.’라는 부분에서 당시 젊은이들이 생각을 들여다보게 된다.

 

책에 실린 3편의 소설이 김명순의 이야기이기도 당대를 살았던 여성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소설은 흥미롭다. 자유롭게 사랑하지 못했던 당시의 모습을 여러 소설에서 보여주었던 것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구조적 문제였음을 작가는 계속 외치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천사가 날 대신해>

의 오랜 친구인 세윤이 죽었다. 불행했던 결혼생활을 끝내고 새로운 직장생활을 하며 나와 ‘JLPT’시험을 준비 중이었다. 갑자기 날아든 친구의 부고에 충격을 받고 친구의 생활을 들여다본다. 세윤의 직장에는 나의 대학 후배였고 껄끄러운 사이였던 로사가 있었다. 나는 새로운 직장에서 잘 적응하려던 세윤이 로사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냈다는 의심을 하게 된다.

 

무엇이 세윤을 죽음으로 몰아갔던 것일까 궁금한데 작가는 끝내 명쾌한 답을 주지 않고 질문한다. 범인, 이유, 원인은 하나가 아니고 그 답은 우리 안에 있음을. 김명순의 소설 속 여성과 현대 지금의 여성의 모습이 닮았음과 또 다름을 <소설, 잇다> 시리즈를 통해 깊이 생각하게 된다. 그때의 공포와 지금의 공포는 과연 어떻게 다른가. 우리는 매번 새로운 공포에 맞닿아 있는데 이것은 어디서 오는 것인지 이야기 나눠보고 싶게 한다.

 

앞으로 우리가 살아갈 세상에선 선역도 악역도 여자야. 우리가 남자들이랑 깊은 관계 맺을 일 있어? 너나 나나 조심해야 하는 건 이제 남자가 아니라 여자라고.”(p.292)

 

술술 읽히는 소설들은 아니었음을 고백한다. 그러나 그때와 지금 여성의 삶을 들여다보고 함께 나눌 것들이 많음을 다시 인지시켜 준다. 해설이 없었다면 이해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읽은 이들과 대화하고 싶게 하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