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는 쉽게 잊고 비슷한 일은 반복될까요? - 기억하는 사람과 책임감 있는 사회에 관하여
노명우 지음 / 우리학교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난 災難 뜻밖에 일어난 재앙과 고난

유의어 날벼락 대환 사변

 

언젠가부터 재난이라는 단어는 낯선 단어가 아니다. 마치 일상이 되어버린 듯 자주 듣게 되는 단어가 되어버렸다. 이게 현실이냐 말이다.

 

광주, 제주4.3, 삼풍 백화점, 세월호, 구의역, 태안화력발전소, 이태원 참사, 1차 세계대전, 2차 세계대전, 난징, 힐스버러, 르완다...... 책 속에 나온 참사들은 우리 사회의 재난의 모습을 보여준다. 다른 나라 다른 시간인데 재난은 약속이나 한 듯 닮아있다.

 

사회학자인 저자 노명우와 함께 사회학의 시선으로 재난을 들여다본다. 제목이 바로 질문이다. “왜 우리는 쉽게 잊고 비슷한 일은 반복될까요?” 청소년책이라서 더 쉽게 읽히지만 담고 있는 내용은 쉽지 않다.

 

재난이라는 단어의 정의에서 알 수 있듯 피해자는 뜻밖에 일어난 일로 한순간에 희생자가 되어 고난에 시달리게 된다.

 

재난은 결코 그냥 일어나지 않으며 반드시 잠정국면과 전조국면으로 사태가 발생한다. 참사가 일어난 후에는 반격의 여론에 시달리기도 한다. 그러므로 기억과 책임이 필요함을 저자는 말한다.

 

기억의 힘은 재난이 되풀이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섣부른 사태의 봉합이나 책임 면피성 처방만으로는 부족함을 알기에, 기억의 힘은 숨어 있는 재난의 심해를 반성적으로 바라보려 합니다. 재난을 낳은 구조의 뿌리를 건드려야 재난이 되풀이되지 않음을 믿기에, 기억의 힘은 쉽게 사태의 비극을 잊어버리려 하지 않습니다. (p.108)

 

재난 이후 재난의 기억을 희생자, 생존자 그리고 가족에게만 맡겨 두어서는 안 됩니다. 재난 이후 기억의 힘을 관리하는 사람은 우리 모두가 되어야 합니다. 우리는 재난의 목소리를 들었습니다. 그리고 다시는 이러한 일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달라는 간절한 호소도 들었습니다. 이제 기억을 힘을 관리해야 하는 당사자는 우리 모두입니다. (p.122)

 

사회적 책임지기는 희생자, 생존자, 유가족을 아울러 동시대를 살아가는 나를 위한 일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나가 모여 우리가 되고 결국 재난의 희생자는 누가 될지 모르는 일이다. 참사의 메커니즘을 끊고 더이상 재난의 희생자가 나오지 않도록 안녕한 사회로 가는 길은 기억하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다.

 

서로를 기억함으로써 우리는 내일은 오늘의 재난이 되풀이되지 말아야 합니다.”라는 말을 지킬 수 있지 않을까. 해시태그로 #기억합니다 로 우리는 계속 말하고 있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말이 절실하게 와닿는다. 무엇이든 해서 다음 세대에는 이런 재난이 반복되는 일이 없기를 간절히 바란다.

 

인간은 홀로 존재하지 못하고 타인과 함께 사회를 구성해야 생존할 수 있는 공통 존재입니다. ‘사회적 책임지기는 재난의 직접적 희생자, 생존자 그리고 유가족을 비롯한 동시대 사람을 위한 것이면서 동시에 를 위한 일입니다. 재난이 불러온 끔찍한 과거를 잊고 반격의 힘을 그대로 내버려 둔다면, 참사를 만들어 냈던 메커니즘은 계속 작동할 것입니다. 메커니즘이 중단되지 않으면 미래의 누군가는 그에 의한 희생자가 됩니다. 우리는 언제까지 참사의 메커니즘에서 벗어난 예외적인 존재일 수 있을까요? (p.150)

 

캄보디아 학살 박물관, 홀로코스트 기념관, 힐즈버러 추모비, 아우슈비츠 수용소, 제주 4·3 평화공원, 5·18 민주 묘지, 민주인권기념관, 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 전태일 기념관, 노근리 평화공원 등 이 세상의 모든 기념물()은 한목소리로 말합니다.

내일은 오늘의 재난이 되풀이되지 말아야 합니다.”라고. (p.166)

 

@woorischool 우리학교출판사에서 도서지원을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