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장 (출간 40주년 기념 특별판)
윤흥길 지음 / 현대문학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전쟁 후 1980년대 전라북도 이리의 외곽의 이곡리. 동네 건달이던 종술은 벼락부자인 최 사장의 저수지를 감독하는 일을 맡게 된다. 완장을 차게 해준다는 말에 솔깃해서 그 일을 수락한다. 스스로 감독이란 글자를 넣어 완장을 만들어 차고 다니며 저수지 감독뿐 아니라 마을의 온갖 일에 위용을 부린다.

 

-그해 이른 봄부터 이곡리 일대를 온통 휘젓고 다니며 마냥 으스대는 종술의 모습은 참 가관이었다.

 

종술은 완장이 주는 권력의 매력에 취해 어느새 저수지가 자기 것인 양 행동하고 설상가상으로 저수지는 가뭄으로 인해 물을 빼야 할 처지가 된다. 과연 완장의 종술은 어떻게 될 것인가.

 

도시에서 완장의 위력에 눌려봤던 종술은 완장이라는 말에 앞뒤 재지 않고 덤벼든다. 그 권력의 힘에 처참히 굴복했던 자신을 떠올렸으니. 그런 권력을 준다 하면 누구나 한 번쯤 차보고 싶다고 할 것이 바로 완장이다. 그런 완장을 놓치지 않으려는 발버둥을 치는 종술을 보며 안쓰러운 마음이 드는 것은 그가 바로 보통의 사람이기 때문이다. 나일 수도 내 주변에 있는 이일수도. 그런 종술의 몰락해가는 삶을 통해 권력을 희화화하는 풍자와 해학으로 저자는 전달하고자하는 메시지를 확실히 전달한다. 이 소설의 힘이 느껴지는 부분이다.

 

-완장 앞에서는 선천적으로 약한 체질이었다. 완장 때문에 녹아나는 건 늘 제 쪽이었다. 제각각 색깔 다르고 글씨도 다른 그 숱한 완장들에 그간 얼마나 많는 한을 품어왔던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 완장들을 얼마나 또 많이 선망해왔던가.

 

어릴 적 학급의 주번이 <주번>이라고 써 있는 노란 완장을 왼팔에 찼다. 그건 돌아가면서 쓰레기 버리고 칠판 지우는 일이었기에 완장의 의미와는 맞지 않았다. 교실 내의 권력이란 <반장>이었다. 담임선생님이 없을 때 떠드는 아이들의 이름을 칠판에 적고 조용히 시키는 것이 반장의 역할. 제대로 수행하지 않았을 때는 거친 반격이 돌아온다. 반장은 선생님에게 혼나고 아이들에게는 인심을 잃는다.

 

-다름 아닌 그놈의 완장이란 물건이 화근이었다. 운암댁의 문을 똑똑 두드리는 불행은 바로 그 완장으로 언제나 얼굴을 가리고 있었다.

 

지금 정치권에도 눈에 보이지 않는 완장이 존재한다. 완장은 눈에 보이지 않으나 항상 우리 곁에 존재했고 그것을 쥐고 휘두르고 싶은 사람들은 차고 넘친다. 그들에게 권력을 주고 숨어있는 이는 누구이며 그 완장에 휘둘리는 이는 누구인가. 완장이 힘을 갖지 못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스스로는 완장을 찼다고 생각하지 못하고 자신의 권력이라 믿고 있는 완장 찬 이들이 떠오른다. 권력의 꼭두각시로 완장을 차고 오늘도 부지런히 종술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