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캐나다의 한국인 응급구조사 - 나를 살리러 떠난 곳에서 환자를 살리며 깨달은 것들
김준일 지음 / 한겨레출판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부 보조가 없으면 생계유지가 불가능한 사회적 약자, 최저시급을 받는 저소득층, 영어가 외국어인 40대 늦깎이 학생으로서 캐나다 사회가 차려놓은 밥상에 식구 수 만큼 빈 숟가락을 얹은 지 3년째 되던 20184, 나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렌프루 카운티 소속 공무원이자 파라메딕으로 채용되었다.

 

한국에서 실패해서, 혹은 사회가 정한 성공의 기준에 스스로 미치지 못한 탓에, 그리고 내 역량으로는 그 기준을 맞출 자신이 없어서 여기로 왔다. 할 줄 아는 것은 별로 없었지만 뭐든 열심히 하는 것 말고는 다른 수가 없었다.

 

현재의 직업인 파라메딕으로 일하는 중에도 , 이 직업 참 괜찮다싶은 경우가 있다. 멈췄던 환자의 심장이 다시 뛰어 의식을 회복했을 때도 좋았고, 출혈이 심한 환자나 호흡곤란을 호소하던 환자의 상태가 점차 좋아질 때나, 살 수 있을까 싶은 외상 환자를 신속히 헬기에 실어 보내고 한숨 돌릴 때도 좋았다. 그렇게 삶과 죽음을 오가는 극적인 순간만큼이나 이 직업이 좋을 때가 있는데, 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도움이 필요하세요?”라는 사소한 한마디를 사람들에게 주저 없이 건넬 수 있을 때이다.

 

2년 전 만났던 환자를 다시 만나게 된 이야기가 인상적이다. 환자는 그사이 시한부 선고를 받았고 발작으로 911을 부른 상태. 더 잘살아보겠다고 열심히 살던 중 자신이 닮고 싶었던 삶을 사는 사람이 다시 아프자 저자는 자신의 미래에 대한 기대와 믿음이 배신당한 기분이 들었다고 한다. 오히려 그런 순간 환자는 괜찮아. 나도 괜찮아질 거고, 너도 괜찮아질 거야.” 라는 말을 했고 저자는 울음을 터트린다. 맞잡은 손으로 전해졌을 뜨거움이 느껴지는 듯하다. 현장에서 만나는 다양한 사람들로부터 자신을 비춰보고 배우게 되었다는 그의 말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경제적인 압박이 심할 때 딸아이가 가져온 학교숙제가 저자를 많이 바꾸게 되었다고. ‘나 자신을 친절하게 대하는 방법을 알아오기였다. 그때까지 스스로를 친절하게 대하는 방법은 고사하고 그래야 한다는 것 자체를 모르고 살았던 저자는 아픈 것도 모르고 스스로를 너무 함부로 대했던 것은 아닐까 생각했다고. 자신을 한 발짝 떨어져 바라보니 , 참 안됐다.’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스스로를 측은해하고 아끼는 마음이 생기고 커져서 슬프고 힘든 감정까지 모두 안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외국에서 40대 가장으로 먹고 살아야 할 걱정으로 치열하게 고민했던 저자가 다시 일어설 수 있었던 계기가 아니었을까 생각이 든다.

 

여기 대한민국에서도 치열하지 않은 이가 얼마나 될까. ‘나 자신을 친절하게 대하는 방법 알아오기라는 과제를 들었을 때 놀라웠다. 우리는 이런 주제를 깊이 생각해본 적이 없으니까. 단순히 좋아하는 것을 소비하고 누군가를 만나는 것이 아닌 나 자신을 오롯이 들여다보는 계기가 될 것이니. 시도해 봄 직하다.

 

저자가 파라메딕으로 일하면서 겪은 다양한 환자들의 이야기는 폭력적 현장이기도, 차마 읽어내려가기 어려운 먹먹함이 존재하기도 했다.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나들며 가족에게 돌아갈 수 있는 매일에 감사했다는 그의 글에 눈시울이 뜨거워진다. 우리는 잊고 있었다. 매일의 반짝이는 일상들이 얼마나 소중한지 말이다. 그것을 위해 우리는 오늘도 한발씩 나아가고 있지 않은가. 손에 잡히지 않지만, 그것을 느끼게 해주는 소중한 책 <나는 캐나다의 한국인 응급구조사>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