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 하는 마음, 마약 파는 사회 - 일상을 파고든 마약의 모든 것
양성관 지음 / 히포크라테스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상을 파고드는 마약의 모든 것

 

마약을 투약하다가 걸렸다는 연예인, 던지기 수법으로 마약을 판매하고 구매한다는 일반인들, 요즘 뉴스에 마약 관련 뉴스가 자주 보도된다. 뉴스로 나오는 것이 이 정도면 실제로는 더 많으리라 생각했다. 게다가 하이쿠키라는 드라마를 보기 시작했는데 이런...마약 쿠키였다!!!

 

1부 마약하는 사회에서는 마약을 처음 접하게 되는 과정, 중독, 결말, 희망 (치료)에 대해 서술하고 2부 마약 파는 사회에서는 마약을 재배하는 나라들, 마약의 역사, 그리고 우리나라의 마약에 대해 이야기한다.

 

한 번 빠지면 헤어 나오기 힘든 마약은 알면 알수록 우리 가까이에 있다는 것, 과거에 중독의 위험을 모르고 혹은 알면서도 외면한 채 약으로 쓰였고, 국민을 정부의 마음대로 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사용되었던 것에 경악을 금치 못했다. 마약은 약이되 약이 아닌 무서운 것이다.

 

우리나라는 마약을 성분과 의학적 사용에 따라 구분하는데 마약을 하는 사람들은 흥분제, 진정제, 환각제로 나뉜다. 신종 마약들로는 여러 가지 계열을 섞어서 마약을 만든다고 하니 놀라움 따름이다. 마약이 나쁘다는 것은 알지만 어떻게 나쁜지, 나쁜지 알면서도 왜 마약 농사를 짓고 마약을 파는지의 막연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었다. 더불어 우리가 마약하는 마음이 되지 않도록 올바른 선택을 해야 하며, 이는 사회의 도움이 필요하고 제도적 장치가 더 개선되어야 함을 느꼈다. 그런데 2023년 보건복지부예산 중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사업예산은 전년과 같다. 정부는 말로만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하는 것이 아니라 치료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예산증액을 책정하길 바란다. 모두 일독하길 권하고 싶은 책 <마약 하는 마음, 마약 파는 사회>이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마약을 “(1) 약물 사용의 욕구가 강제에 이를 정도로 강하고(의존성) (2) 사용 약물의 양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내성) (3) 사용 중지 시 온몸이 견디기 어려운 증상이 나타나고 (금단 증상) (4) 개인에 한정되지 않고 사회에도 해를 끼치는 약물이라고 정의한다. (p.43)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은 펜터민으로 식욕을 억제하고, 군인들은 전쟁에서 메스암페타민으로 두려움을 극복하고(심지어 가미카제 같은 자살 특공대가 되기도 했다), 운동선수들은 경기를 앞두고 코카인으로 투쟁심을 높이고, 학생들은 학교나 학원에서 암페타민으로 졸음을 쫓으며 집중력을 높이고, 노동자들은 농장이나 공장에서 카트나 코카인잎을 씹으며 피곤을 느끼지 않고 더 긴 시간 일한다.’ (pp.65~66)

 

스티브 잡스와 에릭 크랩튼, 존 레넌, 지미 헨드릭스, 리차드 파인먼, 올더스 헉슬리등의 유명인들은 LSD를 통해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또한, 알코올 중독인 사람이 마약중독에 더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마약을 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무직자가 31.5%, 회사원 6.2%, 예술/연예계 종사자 0.4%이다. 현실에서는 가난한 사람이 마약을 더 많이 하고 가난은 만성 통증처럼 마약에 중독될 확률을 높인다. 우리나라에서도 마약 투약자 중 한 달 수입이 50만원 미만인 비율이 절반이 넘는 52.2%에 달한다. 가난이 영향을 미치는 부분은 마약만이 아니고, 가난한 사람이 더 아프고 알코올에 더 취약하다. 가난하면 치료를 못해 더 아프고, 아프니까 일을 할 수 없어서 더 가난해진다. 마약도 마찬가지로 가난해서 마약을 하고, 마약을 하니 가난해진다.

 

단순 투약으로 시작했다가 중독에 이르고 결국엔 알선과 판매로 피해자에서 마약을 퍼뜨리는 가해자로 변한다. 마약중독자에서 마약판매상으로, 환자에서 범죄자로 탈바꿈한다. (P.135)

 

마약은 저주받은 마법이다. 몸이나 마음이 아파서, 혹은 호기심이나 유혹 등의 이유로 시작해 잠시 천국을 경험할지 모른다. 하지만 그 끝은 언제나 헤어 나올 수 없는 지옥이다. (p.152)

 

콜롬비아 농부는 커피 대신 코카를, 동남아시아 농부는 쌀 대신 양귀비와 메스암페타민을, 아프가니스탄 농부는 밀 대신 양귀비를 재배한다. 커피가 농부의 손에서 우리의 코와 입을 통해 들어오기까지 수십 단계를 거치는 것처럼 마약 또한 그렇다. 하나의 상품인 마약은 철저히 분업화된 시스템을 거쳐 생산된 후 각국 정부의 감시를 피해 국경을 넘어 소비자의 몸 안으로 들어간다. (P.167)

 

북한산 필로폰은 순도가 98~100%로 전 세계에서 최고의 품질을 자랑한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흥남제약공장의 지하 2층에 있는 5직장에서 박사급 인력들이 국가의 명령 아래 전문적으로 필로폰을 생산한다. (p.227)

 

 

@hippocrates_book 감사합니다.


-마약중독자는 국가의 전액지원하에 전국 21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 지정 병원에서 치료 받을 수 있다. 병원은 경찰에 신고하지 않고 오로지 치료만 한다. 비밀을 보장한다.

한국마약퇴치운동동부 상담전화

1899-0893

전화 한 통으로 삶을 바꿀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